컨텐츠 바로가기

06.24 (월)

전경련, 한국경제연구원과 통합 유력.. "싱크탱크 순기능 강화"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전경련회관 등 주요 자산 한경연에 넘기고 이름 변경 검토

사회관련 사업 없애고 정책연구 기능 조직·역할 축소

[이데일리 이진철 기자] 회원사의 도미노 이탈로 존폐 기로에 선 전국경제인연합회가 쇄신안으로 한국경제연구원(한경연)과 통합하는 방안을 고려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경련의 해체 요구를 야기한 ‘최순실 게이트’ 사례의 정경유착 고리 역할을 없애고 싱크탱크로서 순기능을 강화하기 위해선 한경연과 통합하는 것이 가장 현실적인 대안이라는 주장이 유력하게 거론되고 있다.

재계 한 고위 관계자는 13일 “전경련을 무조건 해체할 경우 전경련회관 등 자산에 대한 소유권 처리에 난항을 겪을 수 있고 200여명에 달하는 사무국 직원들의 처우도 문제가 될 수 있다”면서 “전경련회관 등 자산을 한경연으로 이관하고 전경련이라는 이름도 새롭게 변경하는 방안이 검토되고 있다”고 말했다.

한경연은 지난 1981년 4월 전경련 산하 ‘경제·기술조사센터’를 확대 개편해 설립한 민간 정책연구기관이다. 자유시장경제 이념을 바탕으로 한국 경제의 발전과 기업하기 좋은 제도적 환경조성을 위한 정책과제의 종합적 연구를 표방하고 있다. 현재 전경련 산하 연구기관이지만 회원사의 회비는 전경련과 별도로 납부되고 있다.

전경련과 한경연의 통합이 유력하게 거론하는 이유는 전경련 쇄신안 마련을 위한 회원사 의견수렴이 난항을 겪고 있기 때문이다.

전경련은 오는 15일 서울 여의도 전경련회관에서 삼성, 현대차, sk 등 주요 그룹 회원사들을 상대로 쇄신안에 대한 의견을 듣기 위한 모임을 개최할 계획이다. 하지만 주요 그룹들에서 참석이 힘들다는 의사를 밝혀 오면서 전경련은 일정 조율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특히 지난 6일 ‘최순실 게이트’ 청문회에 참석한 삼성, sk 등 4대그룹 총수들이 전경련 탈퇴의사를 밝힌 데 이어 산업은행과 수출입은행, 기업은행 등 주요 국책금융기관들은 지난 12일 일제히 전경련 탈퇴서류를 제출했다.

전경련은 600여개 회원사가 납부하는 회비가 400억원 정도로 주요 수입원이고, 서울 여의도 소재 전경련회관 임대료 등으로 300억원 가량을 벌어들이 것으로 알려졌다. 특히 회원사 회비는 삼성이 연 100억원, sk와 lg가 각각 50억원 안팎으로 4대 그룹이 절반 이상의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재계 관계자는 “2013년 준공한 전경련회관이 전경련 자산의 대부분을 차지하지만 아직은 신축시 조달한 금융권 대출을 갚는 수준”이라며 “핵심 회원사인 4대 그룹 이탈이 현실화되면 재정적으로 버티기 힘들 것”이라고 말했다.

전경련은 허창수 회장의 임기가 만료되는 내년 2월 전까지 쇄신안을 마련한다는 방침이지만 향후 진행되는 특검이 수사결과도 존폐에 변수로 작용할 것이라는 시각이 나온다. 전경련이 특검에서 민법을 위배한 것으로 드러날 경우 정부가 설립허가를 취소할 수도 있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이승철 전경련 부회장 등 사무국 간부들은 특검에 대비한 대책 마련에 고심하는 것으로 전해지고 있다.

재계 관계자는 “전경련은 박근혜 대통령 탄핵 후 지난 10일 부총리의 경제 5단체 간담회에 참석하지 않을 정도로 내부 위기감이 높다”면서 “향후 내놓을 쇄신안을 지켜봐야 하겠지만 조직과 역할의 축소는 불가피할 것”이라고 내다봤다.

이데일리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