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6 (수)

3분기 한국경제 뒷걸음질…성장률 2.7% 멀어지나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3분기 GDP 성장률 잠정치 0.6%…0.1%p 하향 조정

이데일리

[이데일리 경계영 기자] 올해 3분기 경제성장률이 하향 조정됐다. 건설투자와 수출이 당초 추정보다 나빠지면서 국내총생산(gdp) 속보치보다 0.1%포인트 내려갔다.

이 때문에 올해 경제성장률이 정부의 전망치 2.8%는 물론 한국은행의 전망치 2.7%를 밑돌 가능성이 커지고 있다.

한은이 2일 발표한 ‘3분기 국민소득(잠정)’을 보면 3분기 실질 gdp 성장률 잠정치는 0.6%를 기록했다. 이는 지난 10월 발표된 속보치보다 0.1%포인트 낮아진 수준이다.

한은은 gdp 지표를 매 분기가 끝난 직후 속보치로 발표한 후 분기 중 마지막 달 이뤄진 경제활동까지 반영해 잠정치를 낸다. 이번 잠정치의 하향 조정은 9월 중 지표가 한은이 추정한 것보다 뒷걸음질 쳤다는 얘기다.

특히 안 좋았던 부문은 건설투자와 수출이었다. 건설투자 부문은 주거용(5.8%) 비주거용(6.1%) 등 건물건설이 큰 폭으로 늘긴했지만 시공 실적을 조사한 건설기성액이 9월 말 추정했던 것만큼 증가 폭이 높지 않았다. 이 때문에 전기비 증가율은 3.9%에서 3.7%로 하향됐다.

수출에서 추정을 빗나간 것은 서비스 부문이었다. 재화의 경우 반도체, 화학제품 등을 중심으로 수출이 늘어나 전기비 증가율이 0.4%에서 0.7%로 높아진 반면 서비스의 경우 외국인 관광객이 우리나라에서 쓴 금액이 예상치를 밑돌며 3.6%에서 0.4%로 낮아졌다.

3분기 경제성장률 잠정치가 낮아지며 올해 경제성장률 또한 당초 전망을 밑돌 가능성이 높아졌다.

김영태 한은 국민계정부장은 “4분기 0.1~0.4%가량 gdp가 증가해야 (한은 전망치) 2.7%를 달성할 수 있다”고 말했다. 속보치 발표 당시 4분기 성장률이 0%만 나와도 연간 성장률 2.7%에 다다를 수 있다는 설명과 달라진 것이다.

문제는 4분기 경제가 극도로 나빠질 수 있다는 우려가 커지고 있다는 점이다. 11월 수출이 회복세로 돌아섰는데도 삼성전자(005930)의 갤럭시노트7 단종 등으로 무선통신기기 부문이 역성장을 기록하는 등 갤노트7 단종 여파가 이어지고 있다.

대내적으로도 최순실 사태에 따른 정치적 불확실성에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당선 이후 금융시장도 불안해지며 소비자심리지수가 금융위기 수준으로 떨어졌다. 잇따른 가계부채·부동산 대책으로 그나마 우리 경제를 먹여살렸던 건설투자가 꺾일 수 있고 ‘청탁금지법(김영란법)’ 등도 내수를 위축시킬 요인으로 꼽힌다.

김창배 한국경제연구원 연구위원은 “청탁금지법이 민간소비를 위축시키는 등 4분기가 종전 전망보다 더 안 좋아질 가능성이 있다”고 했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