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6 (수)

사상최악 가을가뭄 지자체마다 “비상”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한겨레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한겨레] 충남도 비상대책본부로 격상

서산B지구 “특별재난지역 선포를”

충북 고지대 3곳 운반급수

올해안 766억 투입 “시설개량”

강원 저수율 63% 아직은 ‘여유’

“연말까지 저수지 32곳 추가”

인천·경기 임시 비닐도수로

강화로 한강물 끌어오기 작업



사상 최악의 가을 가뭄 사태를 겪고 있는 충남지역 농민들이 정부에 ‘특별재난지역 지정’을 요구하기로 했다. 계곡물에 기대온 충북·강원 지역 고지대 주민들도 물길 찾기에 나서고 있지만 쉽지 않은 상황이다. 인천·경기 지역도 도수로를 내는 등 비상이 걸렸다.

충남도는 19일 가뭄대책본부를 ‘가뭄비상대책본부’로 격상하고 안희정 지사, 9개 시·군, 한국수자원공사, 한국농어촌공사, 한국산업단지공단 본부장 등 21개 기관이 참석한 가운데 첫 회의를 했다.

안 지사는 “지방 하천과 저수지 준설, 거점·마을 상수도별 관정 정비, 물 절약 제도 정비, 금강~보령 도수로 사업 등을 중점 추진해 신속하게 마무리하자”고 말했다. 앞서 안 지사는 지난 17일 보령댐 및 인근 가뭄 피해 현장을 방문한 황교안 국무총리에게 상수도 누수 방지 사업에 국비를 지원해달라고 요청했다.

극심한 가뭄에 따른 ‘쭉정이 벼’ 현상이 번지고 있는 서산 B지구 농민 500여명은 B지구 1510㏊를 특별재난지역으로 선포할 것을 요구할 방침이다. 농민들은 가뭄으로 부남호 수질이 악화해 서산 부석면 갈마리·봉락리, 태안군 남면 달산리·양잠리 등의 논에서 수확량이 적게는 30%에서 100%까지 피해를 입었다고 주장했다. 이들은 21일 서산시청을 방문해 특별재난지역 선포를 요청하고, 피해를 입은 벼 전량 특별수매와 농작물재해보험 적용조건 조정 등을 요구할 것으로 알려졌다. 충남도는 지하수 총량관리제와 저수지 추가 준설에도 나섰다.

충북도 예년 평균의 절반 수준인 강수량으로 충주댐 41.6%, 대청댐 36.7% 등 주요 댐과 저수지 등이 말라가고 있다. 도는 단양 등 고지대 마을 3곳 37가구에 운반급수를 하고 있다. 도는 올해 안에 167억원을 들여 231곳의 생활용수 시설을, 599억원을 들여 772곳의 농업용수 시설을 개량할 참이다.

강원도는 저수지 317곳의 저수율이 63% 수준으로 현재로선 여유가 있다지만 내년 영농기에 대비해 ‘선제적 물 가두기 작전’에 들어갔다. 특히 저수율이 30% 미만으로 떨어진 저수지 8곳에 하천수 등을 끌어다 집중적으로 양수작업을 실시할 참이다. 또 해마다 물 부족 현상을 겪고 있는 강릉 안반데기 등 고랭지 지역에 103억원을 들여 내년 5월까지 양수장(12곳)과 암반관정(134곳), 저류조(40곳) 등을 설치하기로 했다. 올 연말까지 39만7000t 규모의 저수지 32곳을 추가로 건설해 농업용수를 추가 확보할 방침이다.

인천·경기 지역도 도수로를 내는 등 가뭄 비상이다. 한국농어촌공사 경기지역본부와 인천시 강화군은 이날 “연말까지 40억원을 들여 강화군과 김포 사이 56㎞를 잇는 긴급 도수로를 내기로 했다”고 밝혔다. 임시로 비닐 도수로를 낸 뒤 한강물을 끌어와 강화군 저수지에 공급하는 것이다. 한국농어촌공사는 이와 별도로 장기적으로는 480억원을 들여 한강물을 강화군에 공급하는 도수로 사업을 추진중이다.

홍용덕 송인걸 박수혁 오윤주 기자 sting@hani.co.kr

공식 SNS [통하니] [트위터] [미투데이] | 구독신청 [한겨레신문] [한겨레21]

Copyrights ⓒ 한겨레신문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한겨레는 한국온라인신문협회(www.kona.or.kr)의 디지털뉴스이용규칙에 따른 저작권을 행사합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