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16 (일)

1,2차 안심전환대출, 34만 대상 34조 공급...매년 1조 가계부채 감축 효과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정부가 가계부채 안정화를 위해 16개 은행을 통해 1,2차에 걸쳐 시행한 안심전환대출이 총 33조9000억원(34만5000명)으로 마무리됐다.

정부는 이번 안심전환대출로 인해 매년 약 1조원 수준의 가계부채 총량 감축 효과를 얻을 것으로 기대했다.

5일 금융위원회는 1,2차 안심전환대출 실적을 최종 집계한 결과, 33조9000억원(34만5000명)이었다고 밝혔다.

지난달 24일부터 27일까지 진행된 1차의 경우 총 19조8000억원(18만9000건)을 기록했고, 지난달 30일부터 4월3일까지 진행한 2차분은 총 14조1000억원(15만6000명)을 기록했다.

2차분의 경우 신청규모가 20조원에 미달한 만큼 당초 방침대로 안심전환대출 요건을 충족한 경우 신청자 모두 공급하게 된다는게 금융위 측 설명이다.

금융위가 안심전환대출 중 1차분을 기반으로 통계 분석을 진행한 결과, 안심전환대출을 받은 차주들의 평균 소득은 4100만원이고, 연소득은 6000만원 이하가 71%였다. 소득별 비중은 2000만원 이하가 25%, 2000만∼4000만원 21%, 4000만∼6000만원 25%, 6000만원 이상 29% 등이었다.

안심전환대출자의 담보물인 주택의 평균 가격은 약 3억원이었다. 6억원 초과 주택비중은 10% 수준에 불과했다. 주택가격별 비중은 2억원 이하 15%, 2억∼3억원 26%, 3억∼4억원 24%, 4억∼5억원 16%, 6억원 이상 10% 등이었다.

안심전환자의 대출형태의 경우 만기까지 금리가 고정되는 기본형이 91%, 5년 마다 금리를 조정하는 금리조정형이 9%였다. 평균 대출금액은 1억1200만원이었다.

대출만기는 평균 23년으로 20년 이상 비중이 75%로 조사됐다. 대출만기는 세부적으로 32년이 52%로 가장 높은 가운데, 20년 23%, 10년 14%, 15년 11% 등 순이었다.

이외에 안심전환대출로 전환된 대출 중 59%가 종전에 '변동금리이면서 이자만 내던 형태'이었고,

안심전환대출의 평균 LTV는 59.8%, 평균 DTI는 28.8%였다.

안심전환대출의 은행별 취급 비중은 종전 주택담보대출 점유율 구성비와 유사한 수준이었다.

은행별 안심전환대출 취급비중은 국민은행이 25.5%로 가장 높은 가운데 우리은행 13.9%, 신한은행 13.1%, 농협 12.8%, 하나은행 10.2%, 기업은행 8.4% 등 순이었다.

금융위는 "이번 안심전환대출 공급으로 인해 빚을 처음부터 나누어 갚아나가야한다는 바람직한 금융관행을 형성하고 소비자·금융사들의 인식전환에 기여했다"며 "분환 상환을 통해 매년 약 1조원 수준의 가계부채 총량 감축 효과를 얻을 것"이라고 밝혔다.

외신과 신용평가사들도 안심전환대출에 대한 긍정적인 평가를 쏟아냈다는 게 금융위 측 설명이다.

무디스는 지난 2일 "한국정부의 가계부채 위험 경감을 위해 대출 대환계획은 신용도에 긍정적"이라고 밝혔고, 노무라는 지난달 23일 "가계부채 구조개선 노력은 장기적으로 가계부채와 금융시스템 안정성을 제고할 것"이라고 평가했다.

파이낸셜타임즈는 "가계부채 해결에 나선 한국정부"라면서 정부의 안심전환대출 프로그램으로 고정금리, 분할상환 대출로의 가계대출 구조 전환이 가속되고 있다는 평가를 했다.

한편, 금융위는 안심전환대출로 인한 MBS 발행 부담과 은행권 MBS 보유 리스크 발생 등에 대비해 안심전환대출 MBS 테스크포스(TF)를 만들어 면밀히 점검키로 했다.

hwyang@fnnews.com 양형욱 기자



※ 저작권자 ⓒ 파이낸셜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