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4 (월)

안심전환대출 '하늘의 별 따기' 될라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은행들 내일부터 출시

대상자 약 200만명 추산되지만 이달엔 5만명 정도 혜택

갈아탄 다음달부터 원리금 상환, 상환능력 먼저 따져봐야

한국일보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24일부터 각 은행에서 출시되는 ‘안심전환대출’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이번 달에 할당된 5조원의 한도가 조기에 소진될 것이란 우려가 커지고 있다. 기준금리 인하와 맞물리면서 예상보다 이자 감면 혜택이 커져 기존 대출자들의 수요가 몰릴 가능성이 높아졌지만 이달 판매 물량은 전체 대상자의 2.5% 수준에 불과하기 때문이다. 한도 증액 등의 대책이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나오지만 은행권은 수익성 악화를 우려해 난색을 표하는 형국이다.

22일 금융권에 따르면 현재 변동금리를 적용받거나, 원금을 갚지 않고 이자만 내는 주택담보대출을 낮은 고정금리의 장기 분할상환대출로 바꿔주는 안심전환대출이 24일부터 16개 은행에서 일제히 출시된다.

안심전환대출의 장점은 크게 세 가지가 꼽힌다. 우선 절대적인 금리 수준이 낮다. 안심전환대출의 금리는 크게 두 가지로 5년마다 금리가 조정되는 금리조정형의 경우 대출금리는 연 2.63%, 만기일까지 동일한 금리가 적용되는 기본형은 2.65% 수준이다. 현재 시중은행의 주택담보대출 평균 금리가 연 3.5%대이므로 금리 차이는 0.9%포인트에 달한다. 2억원을 대출받은 사람이 안심전환대출로 갈아타면 한 해에 180만원의 이자액을 절감할 수 있다. 여기에 통상 100만원이 넘는 중도상환수수료를 면제받을 수 있고, 고정금리로 갈아탐에 따라 소득공제 혜택(연 300만~1,800만원)을 받을 수 있다는 점도 매력적이다.

이런 까닭에 은행권에서는 판매가 시작되면 고객 신청이 쇄도할 것으로 본다. 기업은행 관계자는 “주택담보대출에 대한 고객 문의의 대부분이 안심전환대출에 대한 것”이라며 “1차 판매량은 빠른 시일 내에 마감될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문제는 이 같은 관심에 비해 판매 물량이 크게 부족하다는 점이다. 안심전환대출의 올해 총 재원은 20조원으로 금융위원회는 이를 우선 매달 5조원씩 나눠 공급하고, 부족분에 대해선 증액여부를 고려할 계획이다.

은행권 주택담보대출자수는 총 300만명. 이 가운데 변동금리이거나 이자만 내는 안심전환대출 대상자는 약 200만명으로 추산된다. 안심담보대출 1년 재원을 20조원으로 놓고 평균 주택담보대출액을 1억원으로 치면 200만명 가운데 10%인 20만명 정도만 올해 혜택을 볼 수 있다는 얘기가 된다. 이달 말까지 공급하는 물량(5조원)만 놓고 보면 2.5% 수준인 5만명만이 전환할 수 있을 정도로 부족하다. 전국의 은행 지점 수 7,306개로 나눠 보면 은행 지점 1곳당 6.8명만이 이달 중에 안심담보대출을 받을 수 있다는 계산이 나온다. 금융당국도 이 같은 경우에 대비해 한도 증액 등 대비책을 검토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하지만 은행들 입장에선 이런 분위기가 탐탁하지 않다. 대출자들의 금리 부담이 줄어드는 만큼 은행들의 이자 수익은 감소하기 때문. 대출을 갈아탈 경우 최대 1.5%까지 부과해온 중도상환수수료 역시 면제된다는 점도 작지 않은 타격이다. 대신증권은 안심전환대출의 올해 한도인 20조원이 소진될 경우 전체 은행권 손실이 1,400억∼1,600억원에 이른다는 분석을 내놓기도 했다.

일각에서는 금리가 낮다고 무작정 안심전환대출로 갈아탔다간 낭패를 볼 수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전환한 다음 달부터 바로 원리금 상환이 시작되기 때문에 본인의 상환능력을 따진 후 결정을 하라는 것이다. 안심전환대출을 받은 후 3년이 지나기 전 다시 갈아타면 중도상환수수료가 부과된다. 이휘정 하나금융경영연구소 수석연구원은 “당분간 저금리 기조가 이어질 가능성이 높다고 본다면 금리보다는 원금상환 능력과 소득변동 가능성을 더 염두에 두고 결정을 해야 할 것”이라고 조언했다.

유환구기자 redsun@hk.co.kr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