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백악관 “50개국 이상 무역협상 요청…미 소비자 관세 영향 크지 않아”

0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폭스바겐 그룹의 차들이 미국과 영국으로 수출되기 위해 지난 2일 독일 엠덴에 도착한 모습. 엠덴/로이터 연합뉴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전 세계 50개국 이상이 미국과 무역 협상을 시작하기 위해 접촉했다고 백악관이 6일(현지시각) 밝혔다. 러시아는 종전협상 중이라는 점을 고려해 관세 대상에 포함하지 않았다고 밝혔다. 하워드 루트닉 상무장관은 “(9일로 예정된) 관세 부과는 연기되지 않을 것이며 며칠, 몇주간 그대로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케빈 해싯 백악관 국가경제위원회(NEC) 위원장은 이날 에이비시(ABC) 방송에 나와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 발표 이후 50개국 이상이 백악관에 무역 협상을 요청해왔다”고 밝혔다. 그는 “그 나라들은 많은 관세를 부담한다는 것을 이해하기 때문에 그렇게 하는 것”이라며 “따라서 (관세가) 미국 소비자에게 큰 영향을 미칠 것으로 생각하지 않는다”라고 말했다. 그는 수출업체들이 가격을 인하할 가능성이 크기 때문에 소비자들이 받는 타격은 크지 않는다고도 덧붙였다. 스콧 베센트 재무장관 역시 이날 엔비시(NBC)에 나와 “최근 발표된 고용 지표가 예상보다 호조를 보여 경기 침체를 우려할 상황은 아니다”라고 덧붙였다.



지난 2일 관세 발표 이후 미국 증시는 이틀 만에 약 10% 가까이 급락하는 등 경기침체 우려가 커지고 있다. 하지만 백악관은 미국의 글로벌 무역 질서 내 위치를 재정립하기 위한 전략적인 행보라고 주장하고 있다.



해싯 위원장은 최근 단행된 관세 부과가 금융 시장을 일부러 흔들어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의 금리 인하를 유도하려는 정치적 의도라는 주장도 일축했다. 그는 “연준에 대한 정치적 강압은 없다”고 강조했다. 앞서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 4일 트루스 소셜에 ‘증시에 충격을 줘 금리 인하를 유도하려는 의도가 관세 정책에 담겨 있다’는 듯한 영상을 공유해 논란이 일었다.



러시아가 상호관세 대상에서 제외된 것과 관련해 해싯 위원장은 “러시아, 우크라이나와 종전 협상이 진행 중이고, 나는 대통령이 두 가지 문제를 하나로 묶지 않기로 결정했다고 본다”라며 “그렇다고 해서 러시아가 다른 나라와 달리 대우받는다는 의미는 아니다”라고 답했다.



워싱턴/김원철 특파원 wonchul@hani.co.kr



▶▶한겨레는 함께 민주주의를 지키겠습니다 [한겨레후원]

▶▶민주주의, 필사적으로 지키는 방법 [책 보러가기]

▶▶한겨레 뉴스레터 모아보기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