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오는 6월3일이 대통령 선거일로 유력하게 점쳐지는 가운데, 앞으로 약 2개월간 권력의 진공상태가 불가피할 수 밖에 없게 됐다는 분석이다. 이 기간동안 사실상 거의 모든 중요한 정부의 정책적 의사 결정이 제한되거나 제약받을 가능성이 커졌다.
즉, 논란이 여지가 있는 민감한 정책 현안들이 웬만하면 '새 정부 출범 이후'로 미뤄질 가능성이 커졌다는 것이다.
그러나 금융권내에서 일분 일초가 시급한 현안들 또한 적지않다는 점에서 이같은 공백에 우려의 목소리도 커지고 있다.
특히 최근 우리금융은 금융 당국으로부터 경영실태평가 3등급을 받음으로써 난관해 봉착한 상태다. 원칙적으로 다른 금융사를 자회사로 편입하기 위해선 최소 2등급은 받아야한다.
만약 이 사안이 6월 대선 이후로 밀린다면, 그 이후는 또 어떻게 될지 기약할 수 없다. 정권 교체의 상황, 개각까지 염두에 둔다면 불확실성은 더욱 커진다.
우리금융의 입장에선 올해 8월까지 보험사 인수를 마무리하지 못하면 계약금 1550억원(인수금액의 10%)을 동양·ABL생명 모회사인 중국 다자보험에 지급해야한다. 이번 헌재의 판결로 인해 어쨌든 우리금융의 입장에선 속이 타들어갈 수 밖에 없는 상황이 됐다.
이밖에 6월에 결론을 내야하는 '제4인터넷전문은행 예비인가'건도 금융권내 민감한 현안중 하나로 꼽힌다.
이번 탄핵 판결이 제4인터넷전문은행 예비인가를 위한 내부 검토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지는 않겠지만 '인허가'와 관련한 민감한 사안이란 점에서 부담이 클 수 밖에 없다는 인식이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특히 검사 출신의 이 원장은 자타가 공인하는 윤 정권의 실세로 평가받아왔고, 금융권 핵심 현안들에 대해 분명한 목소리를 내온 인물이다. 하지만 윤 대통령의 파면으로 영향력과 존재감이 크게 축소될 것이란 분석이다.
- Copyright ⓒ 디지털데일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