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완성" 이용자 불만 잇따라
'시리 개인화' 완성도가 관건
국내통신사 AI비서 반사이익
애플 인텔리전스 한국어 버전. 애플 제공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애플이 선보인 자체 인공지능(AI) '애플 인텔리전스' 한국어 버전이 기대에 못 미치는 실성능으로 명령어 인식·수행에 한계를 드러내고 있다.
애플이 AI 기술 고도화 작업에 어려움을 겪으면서 국내 소비자용 AI 에이전트 시장 주도권 무게추가 통신사들로 더 기우는 모양새다.
2일 업계에 따르면 애플이 지난 1일 최신 운영체제(OS) iOS 18.4 업데이트를 통해 배포한 애플 인텔리전스 한국어 버전을 직접 써본 애플 기기 이용자들은 "미완성"이라는 평가를 내리고 있다. 이번 애플 인텔리전스 한국어 버전은 △글쓰기 교정·재작성·요약 △사진 편집(클린업) △스마트 답장 △우선순위 알림 기능 △시리의 음성인식 및 맥락 이해능력 개선 △음성비서 '시리'와 '챗GPT' 통합 등이 주요 기능으로 적용됐다.
가령 이용자 사진첩에 있는 고양이 사진만 모아 보여달라는 명령을 내렸는데, 온라인에서 고양이 사진을 검색하거나, 오늘의 미세먼지 농도를 알려달라는 요청에는 기온을 알려주는 등 실사용 명령어 인식률이 크게 떨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내게 온 알림을 요약해 보여주는 기능도 알림이 많이 쌓이면 엉뚱하게 요약을 하고, 챗GPT 답변 정확성이 낮다는 이용자의 불만도 잇따르고 있다.
애플이 AI 성능 문제만 노출하면서 소비자용 AI 에이전트 시장에 먼저 뛰어든 국내 통신사들이 반사이익을 누릴 가능성이 커졌다.
SK텔레콤과 LG유플러스는 각각 AI 비서인 '에이닷' '익시오' 고도화에 본격적으로 팔을 걷어붙였다. SK텔레콤은 에이닷을 검색, 예약 등 사용자 요청을 완결적으로 수행하는 등 기능 확대를 추진한다. LG유플러스는 △실시간 보이스피싱 탐지 △보이는 전화 △통화 녹음 및 요약 △통화 후 검색정보 제공 등을 고도화한다.
업계 관계자는 "미완성으로 나온 애플 인텔리전스가 고도화된 생성형 AI 서비스들을 경험해본 국내 소비자의 눈높이를 만족시키지 못하고 있다"면서 "개인화 시리의 완성도가 AI 시장 주도권의 관건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Copyrightⓒ 파이낸셜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