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미얀마 현지에 간 저희 취재진이 지진 피해가 가장 컸던 곳 가운데 하나인 네피도 지역에 도착했습니다. 미얀마의 수도인 이곳은 곳곳에 건물과 도로가 무너지고, 전기와 물 공급이 끊겨서 사람들이 촛불을 켠 채 밤을 보내고 있습니다.
한상우 특파원 리포트 보시고, 현장을 바로 연결하겠습니다.
<기자>
미얀마 제1도시 양곤에서 최대 지진 피해 지역인 만달레이와 수도 네피도로 가는 길.
양곤 도심을 벗어나 3시간 가까이 달리자 곳곳에서 갈라지고 깨진 도로가 나오기 시작합니다.
수도라는 말이 무색할 정도로 큰 도로 곳곳이 끊기고 갈라진 채 군데군데 솟아올랐습니다.
주택과 상가가 밀집한 도심 지역에 들어서자 지진 피해의 처참함이 고스란히 드러납니다.
한 집 건너 한 집이 주저앉고 무너졌습니다.
여진의 공포도 계속되고 있습니다.
그나마 남아 있는 건물조차 언제 추가로 붕괴될지 모르고, 이렇게 쓰러지기 직전의 아슬아슬한 상황입니다.
도시 대부분의 전기가 끊겼고, 가스와 연료도 부족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전기 없어요?) 없어요.]
지진으로 전력 공급망이 파손된 영향입니다.
피해가 워낙 광범위하고 크기 때문에 복구는 엄두조차 못 내고 있습니다.
직접 곡괭이를 들어 잔해를 파내고, 돌을 날라 보지만 외부 지원이 없으면 상황은 더욱 암담해질 뿐입니다.
(영상취재 : 하륭·윤형, 영상편집 : 조무환)
---
<앵커>
그럼 피해 현장으로 바로 가보겠습니다.
한상우 특파원, 그곳이 여기랑 2시간 반 차이니까 거기도 곧 밤이 찾아올 텐데, 먼저 취재한 내용부터 전해주시죠.
<기자>
네, 지금 제가 있는 이곳은 미얀마 수도 네피도의 주택가입니다.
지진으로 초토화된 도시에는 아직도 무거운 슬픔이 깔려 있습니다.
지금 제 뒤로 멀리 보이는 잔해들이 모두 무너진 주택들입니다.
아직도 잔해 속에는 많은 사람들이 매몰된 것으로 추정됩니다.
추가 붕괴 위험 때문에 일일이 사람 손으로 잔해를 걷어내고 있는데, 제대로 된 구호장비조차 없어 구조의 속도가 나지 않고 있습니다.
<앵커>
피해 지역까지 가는 길이 굉장히 험난해 보이던데, 구조인력이나 물자가 들어가는 데도 시간이 꽤 걸릴 것 같습니다.
<기자>
네, 저희 취재진도 양곤에서 이곳 네피도까지 오는 데 많은 어려움을 겪었습니다.
도로가 끊어지고 파손된 곳이 많아서 시간도 평소보다 배 이상 걸렸습니다.
도로 복구가 시급한데 중장비가 부족하다 보니 지역 주민들이 삽과 모레로 도로를 정비하는 실정입니다.
도로 사정 때문에 본격적인 외부 지원도 늦어지고 있습니다.
이 지역 역시 전기와 물 공급이 끊겨 도시 전체가 마비 상태인데 그나마 피해가 적은 인접 지역에서 구호물자를 구해 나눠 쓰는 형편입니다.
가장 피해가 큰 만달레이 지역으로 가는 도로는 파손 정도가 더 심한 것으로 알려졌는데, 이 때문에 피해 지역에 물자가 아직 본격적으로 전달되지 못하고 있습니다.
(영상취재: 하륭·윤형, 영상편집 : 채철호)
한상우 기자 cacao@sbs.co.kr
▶ 네이버에서 S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가장 확실한 SBS 제보 [클릭!]
* 제보하기: sbs8news@sbs.co.kr / 02-2113-6000 / 카카오톡 @SBS제보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