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러스트=김성규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1903년 미국의 유리 공장 근로자 오언스가 유리병 제조 기계를 발명했다. 인부 6명이 24시간 일해 하루 2880개 만들던 유리병을, 인부 2명만 쓰고도 1만7280개씩 찍어냈다. 제조 단가가 1달러 80센트에서 12센트로 떨어졌다. 유리병 기계가 보급된 뒤 베네치아 유리 장인 등 전 세계 유리 숙련공이 반으로 급감했다. 반면 유리 공장에 만연했던 아동 노동은 없어졌다.
▶17세기 산업혁명은 공장 자동화의 전환점이 됐다. 영국 발명가 올리버 에번스가 만든 자동 제분기는 밀가루를 만들던 유럽 풍차를 관광용으로 만들어 버렸다. 1920년대 전기의 등장과 미국 포드 시스템은 공장 풍경을 180도 바꿨다. 2차 세계대전 여파로 구인난에 시달리던 포드 자동차는 컨베이어 벨트와 무거운 부품을 옮겨주는 기계손(iron hand)을 도입하고, 이 생산 공정을 ‘오토메이션(automation)’이라고 명명했다.
▶다시 컴퓨터로 생산 공정을 정밀 제어하는 시스템이 등장하자, 경영학 대가 피터 드러커는 “인류 역사상 처음으로 기계가 기계를 작동시킨다”고 했다. 로봇 공학자들 사이에선 “미래의 공장엔 개 한 마리와 사람 한 명만 있으면 된다. 개의 임무는 사람이 기계에 손대지 못하게 지키는 것이고, 사람의 임무는 그 개에게 먹이를 주는 것이다”라는 농담이 있었다. 그런데 인공지능(AI)과 휴머노이드(인간형 로봇)의 발전으로 이것이 더 이상 농담이 아니게 됐다.
▶요즘 조회 수가 폭발하는 산업계 뉴스는 빅테크 기업들 간 휴머노이드의 묘기 대행진이다. 테슬라의 휴머노이드가 사람이 던진 테니스공을 받아내는 기술을 선보이자, 중국 유니트리의 로봇은 공중제비돌기를 시연했다. 현대차 계열사 보스턴다이내믹스는 회전 낙법, 물구나무서기까지 보여주었다. 노르웨이 로봇은 세탁 바구니를 들고 청소기를 돌리는 장면을 보여준다. 테슬라와 현대차는 조만간 자동차 조립 라인에 휴머노이드를 투입할 계획이라고 한다.
[김홍수 논설위원]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