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의 한 의과대학. 연합뉴스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이른바 ‘빅5’ 병원을 부속·협력병원으로 둔 의과대학의 복귀율이 사실상 100%에 이른 가운데 실제 수업 참여로 이어질지가 관심거리다. 1년여 동안 지켜온 의대생들의 ‘단일대오’에는 금이 갔지만, 교육부와 대학이 생각하는 ‘정상화’에는 아직 미치지 못하기 때문이다.
30일 교육부와 주요 대학에 따르면, 서울대와 연세대, 성균관대, 울산대, 가톨릭대 등은 사실상 100% 복귀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들 의대는 졸업 뒤 ‘빅5’ 병원(서울대·삼성서울·세브란스·서울아산·서울성모병원)에서 주로 수련을 한다. 국립대인 경북대와 충남대 등에서 거의 전원이 등록했고, 고려대도 80% 이상이 등록을 마친 것으로 알려졌다.
주요 의대 학생들의 복귀 행렬이 이어지면서 다른 의대생들도 고심 중에 있다. 이에 발맞춰 일부 대학은 복귀 시한을 연장했다. 충북대 의대는 지난 28일에서 오는 4월4일로 복학원 마감을 늦췄다. 충북대 관계자는 “(의예과에 재학 중인) 23~25학번은 대부분 복귀 신청을 했고, 31일 개강하는 의학과의 경우 학생들이 시간을 더 달라고 해서 1주일 늦췄다”고 말했다. 미등록 투쟁을 이어가겠다는 방침을 밝힌 인하대 또한 추가 설득에 나설 것으로 보인다. 인하대 관계자는 “외부에 알려진 것처럼 (학생 복귀율이) 낮지는 않고, 복귀 신청 마감은 했지만 학생 문의가 계속해서 들어오는 상황”이라고 설명했다.
다만 일부 비수도권 대학의 경우 복귀율이 기대에 못 미치는 것으로 파악됐다. 한 비수도권 사립대 의대는 28일 복귀 신청을 받았으나 50%에 못 미치는 복귀율을 보였다. 한 비수도권 국립대 의대 총장은 “등록 마감 이후에도 상당수가 복귀 의사를 표명해오고 있지만, 연장 여부는 아직 결정되지 않은 상황”이라고 말했다. 이어 “수도권 대학에는 전국에서 사람이 모이다 보니 다양한 생각을 하는 사람이 많겠지만, 지역으로 오면 균질성이란 게 있다. 이런 균질성이 나중에 병원을 개업하거나 (지역 의사 사회에서) 활동하는 데 영향이 있을 수 있어 단일대오가 깨지지 않는 것 같다”고 설명했다.
이런 상황에서 2026학년도 모집인원을 증원 이전 규모인 3058명으로 되돌릴지에 대한 판단도 늦춰질 전망이다. 교육부와 의대가 있는 40개 대학 총장들은 이달 초 ‘전원 복귀’를 조건으로 내년도 정원을 3058명으로 하겠다고 밝힌 바 있다. 이후 의대 총장들은 전원 복귀의 기준은 100% 복귀가 아니라 ‘정상적인 교육이 가능한 수준’이라고 설명했다. 이에 대해 비수도권 국립대 총장은 “복학하는 게 우선”이라면서도 “수업 참여는 향후에나 알 수 있고, (전원 복귀 판단은) 그 후에나 할 수 있다”고 말했다. 또 다른 비수도권 국립대 총장도 “교육 정상화가 이뤄져야 복귀라고 할 수 있는데 아직은 그 판단을 하기 어렵다”고 말했다.
교육부 역시 비슷한 상황이다. 예고한 대로 31일 의대생 복귀 비율을 집계는 하지만, 2026학년도 의대 정원을 변경할 전원 복귀에 대한 판단은 추후 정할 계획이다. 교육부 관계자는 “31일 기준으로 복귀 상황을 보겠지만 판단이 오래 걸릴 수 있다. 복귀 정도만 볼 건 아니고 진짜 학생들이 수업을 하는지를 봐야 한다”고 말했다.
신소윤 기자 yoon@hani.co.kr
▶▶한겨레는 함께 민주주의를 지키겠습니다 [한겨레후원]
▶▶민주주의, 필사적으로 지키는 방법 [책 보러가기]
▶▶한겨레 뉴스레터 모아보기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