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립생태원 멸종위기종복원센터에서 산불을 피해 멸종위기 동물들을 이송하고 있다. 사진은 충남 서천의 국립생태원 본원으로 옮겨진 참수리. 국립생태원 제공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지난 25일 오전 9시 30분 경북 영양군의 국립생태원 멸종위기종복원센터. 주요 간부들이 모인 가운데 비상대책회의가 열렸다. 22일 경북 의성에서 발생한 산불이 걷잡을 수 없이 번지면서 센터 인근 지역까지 불길이 도달했기 때문이다.
이곳은 국내 최대 규모의 멸종위기 야생생물 시설로 한반도에서 사라졌거나 얼마 남지 않은 동·식물들을 복원하는 연구를 수행 중이다. 센터는 산불로부터 멸종위기종들을 지키기 위해 산불 확산 반대 방향에 있는 지역으로 대피시키기로 했다.
━
조류는 서천, 어류·양서류는 울진 대피
멸종위기 어류 5종과 양서류인 금개구리, 파충류인 남생이는 울진에 있는 경북도민물고기연구센터로 대피했다. 만년콩 등 희귀 식물들의 경우 화재를 피할 수 있는 센터 내 지하 창고로 옮겼다. 센터는 27일 멸종위기 동식물 28종, 4900여 개체에 대한 대피 조치를 완료했다고 했다.
28일 오전 지리산국립공원 인근 산청군 삼장면 일대에서 헬기가 산불 진화작업을 벌이고 있다. 지리산국립공원은 멸종위기 반달가슴곰의 서식지다. 뉴스1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정길상 멸종위기복원센터 복원연구실장은 중앙일보와 통화에서 “멸종위기 동식물들을 여기보다 안전한 곳으로 모두 보내 놓은 상태”라며 “연구진이 현장으로 같이 출동해 직접 관리하고 있다”고 했다. 초대형 산불은 센터 인근 수 킬로미터까지 접근했지만, 다행히 불길이 잡히면서 센터에 직접적인 피해는 없었다고 한다.
━
반달가슴곰·산양, 산불 지역서 서식
동물보호단체에서 산불 속에 방치된 개를 구조하는 모습. 케이케이나인 레스큐 제공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문제는 야생에 서식 중인 멸종위기 동물들이다. 역대 가장 큰 산불 피해를 입은 경북 북부 지역은 멸종위기Ⅰ급 산양 등 여러 멸종위기종이 서식하는 생태계의 보고로 알려져 있다. 경남 산청에서 시작된 산불이 번진 지리산국립공원은 멸종위기 반달가슴곰 복원이 진행되고 있다. 현재 80마리가 넘는 반달곰이 서식 중이다.
━
산불 속 남겨진 반려동물 구조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한편, 대형 산불로 인해 생존을 위협받는 반려동물들에 대한 구조의 손길도 이어졌다. 동물자유연대와 케이케이나인 레스큐 등 동물보호단체들은 주민들이 대피하는 과정에서 목줄에 묶여 산불 속에 홀로 남겨진 개들을 잇달아 구조했다. 이재민 대피소 인근에 반려동물을 위한 임시보호소도 구축했다.
천권필 기자 feeling@joongang.co.kr
▶ 중앙일보 / '페이스북' 친구추가
▶ 넌 뉴스를 찾아봐? 난 뉴스가 찾아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