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관촌 포럼 27일부터 개막, 로봇·AI 등 기술 전시·교류
KIC중국 ‘한중 과학기술 혁신 협력 포럼’ 전문가들 참여
MOU 체결 및 주제 발표, 로봇 기술 관련 교류 등 논의
28일 중국 베이징 중관촌국제혁신센터 1층 로비에서 유니트리의 휴머노이드 로봇이 관람객을 맞이하고 있다. (사진=이데일리 이명철 특파원)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지난 27일 중국 베이징 중관촌에서는 ‘2025 중관촌 포럼 연례 회의’가 개최했다. 중관촌 포럼은 과학과 기술에 초점을 둔 행사다.
올해는 지능형 로봇, AI 대형 모델, 지능형 디스플레이 같은 첨단기술을 사용해 로봇 통합·협업, 지능형 컨퍼런스 관리 등 8가지 유형의 과학 기술 시나리오를 만들 계획이다. 중국에서 딥시크 등장이 화제가 된 가운데 AI에 대한 비중을 강화한 것이 특징이다.
중관폰 포럼 이틀째인 28일 중관촌국제혁신센터에서는 글로벌혁신센터(KIC중국), 한국연구재단, 베이징과학기술위원회, 중관촌관리위원회, 베이징국제기술거래연맹이 행사 일환으로 ‘한중 과학기술 혁신 협력 포럼’을 열었다.
이진수 주중대사관 과기정통관은 축사를 통해 “로봇 산업은 빠르게 진화하는 글로벌 시장에서 국가간 협력이 필수”라며 “한·중 양국이 서로 강점을 살려 협력해야만 지속적인 혁신과 발전을 이룰 수 있다”고 강조했다.
양쉐메이 중국과학기술교류센터 부주임은 축사에서 “이번 중관촌 플랫폼을 기반으로 지속적인 한·중 협력이 필요하다”고 말했고 류징창 베이징시과학기술위원회 부국장은 “한·중 협력이 상호 이익을 창출할 미래 발전 방향에 대해 기대감이 높다”고 전했다.
28일 중국 베이징 중관촌국제혁신센터에서 ‘한중 과학기술 혁신 협력 포럼’이 진행 중이다. (사진=이데일리 이명철 특파원)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포럼은 서울대 미래모빌리티기술센터장인 이동준 교수, 한상대 경기도경제과학진흥원(GBSA) 본부장, 노규성 생성형AI연구원장, 판덩폐이베이징즈위안인공지능연구원 수석연구원, 잉위페이 베이징즈여우연구원 부원장 등 한·중 로봇 기술 산업 전문가들이 참석해 주제 발표를 했다.
주제는 △로봇산업 및 연구개발(R&D) 현황과 발전 △한·중 로봇기술 혁신 발전 및 전략 △기업 우수 사례: 한·중 로봇 첨단기술 교류 등으로 진행됐다.
한·중 우수 로봇 기술 기업인 헬퍼 로보틱스, 로지 체인, 오이스터에이블, 뉴빌리티, 테솔로, 택트레이서, 캐스봇, 다타 로보틱스 등이 기술을 전히했다.
KIC중국은 중관촌과학성혁신발전유한공사 및 경기도경제과학진흥원과 3자간 업무협약(MOU), 중관촌국제전시운영관리유한공사, 동성테크노파크 동반과학기술혁신센터와 각각 MOU를 체결해 과학기술 협력을 강화하기로 했다.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