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역 제한, 세계 경제에 미칠 영향 커"
글로벌 업체 10곳 부담 비용 74조 원↑
27일 경기 평택항에 수출용 자동차들이 세워져 있다. 연합뉴스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일본 정부가 도널드 트럼프 미국 행정부의 '수입산 자동차 25% 추가 관세 부과' 발표에 "대항할 모든 선택지를 검토하겠다"며 강경한 입장을 나타냈다. 일본의 기간산업인 자동차 산업에 미칠 파장이 큰 만큼 동맹국 미국을 향한 발언 수위를 이례적으로 높였다.
27일 일본 니혼게이자이신문(닛케이) 등에 따르면 이시바 시게루 총리는 이날 일본 도쿄 참의원 예산위원회 회의에서 미국의 관세 정책 발표에 "적절한 대응을 생각하지 않으면 안 된다"며 이같이 말했다. 쓰지모토 기요미 입헌민주당 의원이 "세계 각국이 대항 조치를 검토하고 있다"는 말에 일본 역시 보복 관세 카드 등 강경책도 배제하지 않겠다는 입장을 피력한 것이다.
트럼프 대통령은 전날 모든 수입산 자동차에 25%의 추가 관세를 부과하겠다고 발표했다. 새 관세 정책은 내달 3일부터 적용된다.
하야시 요시마사 일본 관방장관은 "일본도 대상국에 포함되는 형태로 (추가 관세 부과가) 발표돼 매우 유감"이라며 불편함을 숨기지 않았다. 이어 "자동차 관세를 비롯해 미국 정부의 광범위한 무역 제한은 일미(미일) 양국 간 경제와 세계 경제에도 큰 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비판했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26일 미국 워싱턴 백악관 집무실(오벌오피스)에서 수입산 자동차 25% 추가 관세 부과 방침을 발표하고 있다. 워싱턴=UPI 연합뉴스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지난해 일본의 대(對)미국 수출액(약 202조 원) 중 자동차 관련 품목은 34%(약 72조 원)를 차지했다. 25% 관세안이 일본에 적용될 경우 일본 경제에 들이닥칠 악영향이 클 것으로 우려되는 만큼 동맹국 미국을 향한 공개적인 쓴소리까지 마다하지 않는 모습이다.
그렇다고 이를 뒤집을 뾰족수도 없다. 현대차는 24일 미국을 찾아 210억 달러(약 31조 원) 규모의 대미 투자책을 발표했지만, 관세 적용 대상에서 제외될 것이란 소식은 들리지 않고 있다. 닛케이는 "현대차는 트럼프 대통령 바람대로 투자를 표명했지만 추가 관세를 줄이지도 못했다"고 지적했다. 또한 "일본 업체들은 부품도 수입에 의존하고 있는데 생산기지를 미국으로 옮길 수도 없는 노릇"이라고 우려했다.
도쿄= 류호 특파원 ho@hankookilbo.com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