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벽 0.5㎜ 강수, 확산세 누그려뜨려
헬기 3대 운영, 인력 1300여명 투입
오후 7시 이후 5㎜ 안팎 비 예보 기대
산불영향구역 904㏊에 화선 20.2㎞
주민 355명 대피 중···인명피해 없어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엿새째 이어지고 있는 울주 산불의 주불이 잡혔다. 다만 잔불이 남아있어 안심하기엔 이르다. 울주 산불은 그동안 60~90%의 진화율을 오갔는데, 바람이 불면 다시 살아나는 특성을 보였다.
김두겸 울산시장은 27일 오후 현장 브리핑에서 “주불은 진화한 것으로 판단한다”고 밝혔다. 이어 그는 “현재 잔불 정리 중이며, 불길이 다시 살아나지 않도록 주력하고 있다”고 밝혔다.
울주 산불의 영향구역은 이날 904㏊로 늘어났다. 전체 화선은 20.2㎞로 육안으로 보기에 진화가 이뤄진 것으로 판단된다는 것이 김 시장의 설명이다.
산림 당국은 이날 오전 13대의 헬기를 투입할 예정이었으나, 연무가 가득해 3대만 진화 작업에 동원했다. 이 밖에 소방차와 산불진화차 등 장비 78대, 공무원과 소방대원 등 인력 약 1300명도 투입했다.
다만 넓은 피해 면적에 숨어 있는 잔불이 여전한 데다 오후부터 초속 3∼9m의 강한 바람이 불고 있어 불길이 다시 살아나는 가능성을 배제하지 않고 있다.
산림 당국은 인접 마을이나 신라시대 고찰인 내원암 쪽으로 불길이 번지지 않도록 총 11㎞ 구간에서 방화선을 구축하고 있다. 오후 3시 기준 330가구 355명의 주민이 대피 중이다.
한편, 지난 25일 오전 11시 54분 발생한 언양읍 송대리 인근 화장산 산불이 발생 29시간여 만인 26일 오후 5시를 기회 완전히 진화했다. 온양·언양 산불 모두 인명피해는 없었다.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