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공직자 정기 재산변동사항’ 보니
재산 74억553만원, 광역단체장 중 1위
마이크로스트·아이온큐·엔비디아·팔란티어 등
3억 9700만원→28억 9503만원, 25억원↑
오세훈 서울시장이 27일 중구 서울시청에서 열린 ‘MZ공무원 영테크 특강’에서 격려사하고 있다. [연합]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헤럴드경제=한지숙 기자] 광역단체장 재산 1위 오세훈 서울 시장은 서학개미(미국 등 해외주식에 투자하는 개인투자자)였다. 부부가 지난해 미국 증시에 상장된 종목을 대거 쓸어담아 주식 평가액 기준으로 25억원을 벌어들인 것으로 나타났다.
27일 정부공직자윤리위원회가 공개한 ‘2025년 공직자 정기 재산변동사항’에 따르면, 지난해 말 기준 오 시장 재산은 74억553만원으로 전년 59억7599만원에서 14억여원 증가했다. 이는 현직 전국 광역단체장 중 가장 많은 액수다. 증가액으로도 1위다.
지난해 오 시장은 예금은 줄이고 미국 주식 투자를 늘렸다.
최근 미 증시 조정과 함께 테크 종목들의 주가도 지지 부진한 상황이다. 오 시장 부부가 이후 보유 종목들을 처분했는 지는 확인되지 않았다. 만일 주식을 매도해 실제 25억원 가량의 투자 수익을 거뒀다면 오 시장 부부가 내야할 양도소득세도 어마어마할 것으로 보인다. 다만 ISA(개인종합자산관리계좌)를 통해 해외ETF에 투자했다면 비과세다.
오 시장은 해외주식 양도소득세에 대해 비과세 혜택을 줘야한다고 주장한 적이 있다.
오 시장은 지난달 26일 페이스북에 글을 올려 “국내 투자자는 수년째 지속된 ‘박스피’라는 끝없는 침체의 감옥에 갇혀 있고, 해외 투자자들은 불합리한 ‘과세차별’이라는 감옥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며 “국민의 자산 증식과 자본시장 활성화라는 두 가지 중요한 목표를 이루려면, 이 두 감옥을 과감히 허물어야 한다”라고 밝혔다.
그는 “단기 투기로는 결코 국내 자본시장을 살릴 수 없다”며 “대주주를 제외한 상장주식 장기 투자자의 배당소득세를 보유 기간에 따라 과감히 감면하거나, ISA(개인종합자산관리계좌) 비과세 한도를 투자 기간에 따라 확대해 개인과 기관 투자자의 장기적이고 건전한 투자를 적극적으로 유도해야 한다”고 제안했다.
오 시장은 “현재 금융소득 종합과세 기준은 2003년 4000만원에서 2013년 2000만원으로 줄어들었고, 이로 인해 중산층까지 최고 49.5%의 높은 세율 부담을 떠안고 있다”며 “일반 주주의 배당소득을 분리과세 해 국민들이 주식시장에 적극적으로 참여할 유인을 제공해야 한다”고 주장하는 등 금융분야에 상당한 식견을 드러냈다.
그는 또 “지난 5년간 해외주식 투자자들의 규모가 12배 증가했는데도 해외주식 양도소득세율은 20% 수준으로 유지되고 있다”며 “국내상장주식 거래와 동일하게 해외상장주식 거래에 대해서도 비과세 혜택을 제공해 투자자의 숨통을 틔워줘야 한다”고 해외주식 비과세 혜택을 주장했다.
한편 오 시장은 이날 ‘서울시 MZ공무원 영테크 특강’에 참석해 2021년부터 2025년 사이 신규 임용된 공무원 MZ세대(만 39세 미만) 400명과 만났다.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