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이슈 끝없는 부동산 전쟁

"송파 집값 상승세 꺾였다" 급한 불 껐지만…토허제 효과 단기적?

0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서울=뉴시스] 김명년 기자 = 강남3구와 용산구 소재 아파트의 매물 호가가 내려가고 있다. 정부와 서울시가 강남3구(강남·서초·송파구)와 용산구 소재 아파트 2200개 단지에 '갭투자'를 막는 토지거래허가구역으로 적용키로 하면서 부동산 시장이 혼란에 빠졌다. 토지거래허가구역 해제로 큰 수혜를 입었던 잠삼대청(잠실·삼성·대치·청담동) 지역은 집주인들이 호가를 1억~3억원 가량 낮추고 있다. 오는 24일부터 토지거래허가구역 규제가 시행되기 때문에 매도를 서두르려는 집주인들이 늘어 매물이 급증하는 모습이다. 송파구 잠실동 엘리트(엘스·리센츠·트리지움) 아파트는 전용 84㎡ 기준 호가를 30억원에 27억원으로 하루 만에 3억원 낮춘 매물도 등장했다. 엘스 아파트는 지난달 토지거래허가구역 해제에 따른 수혜 단지로 꼽히며 30억5000만원에 신고가로 거래가 체결되기도 했다. 사진은 23일 오전 서울 송파구 아파트 단지. 2025.03.23. kmn@newsis.com /사진=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서울시가 토지거래허가구역을 확대·재지정한 지 일주일만에 송파구 아파트 매매가격이 하락전환했다. 강남·서초·용산구는 상승세를 유지했지만 상승폭이 축소되면서 서울 집값 전반에 조정 신호가 감지되고 있다.

27일 한국부동산원이 발표한 3월 넷째 주(24일 기준) 전국 주간 아파트 가격 동향에 따르면, 서울 아파트 매매 가격 상승률은 0.11%를 기록하며 전주(0.25%) 대비 상승 폭이 반토막 났다.

특히 잠실 아파트를 중심으로 매주 1%에 육박하는 상승률을 보이며 과열양상을 보여온 송파구는 토허구역 재지정 후 0.03% 하락하며 올해 첫 '마이너스'를 기록했다. 송파구 내 대표 투자 지역인 잠실·신천동 일대 분위기가 가라앉은 영향으로 풀이된다. 강남구(0.36%), 서초구(0.28%), 용산구(0.18%)도 상승폭이 전주대비 절반 가량으로 축소돼 토허제 확대 도입이 주택시장 전반의 관망 심리를 단기간내 확산시켰다.


토허제 재지정으로 갭투자 차단…시장 과열 진정 신호

서울시는 지난달 12일 '잠실·삼성·대치·청담'(잠삼대청) 지역의 토지거래허가구역 해제를 발표한 지 35일 만에, 강남3구(강남·서초·송파)와 용산구를 포함해 다시 토허제를 확대 재도입했다.

이는 토허제 해제를 전후로 강남권 집값은 급등한데 따른 것이다. 2년 이상 실거주 요건과 구청 허가 절차로 거래가 위축되는 등 제약이 사라졌고, 가격상승 기대감이 커지면서 매수세가 불붙었다. 서울시는 결국 '급등'을 인정하고 과열된 시장을 진정시키기 위해 국토부와 함께 토허제 재지정이라는 결정을 내렸다.

토지거래허가제가 시행되면 일정 규모 이상의 주택 매입 시 실거주 목적을 증명해야 하기 때문에 갭투자(전세끼고 매수)가 사실상 차단된다. 이는 투자 수요를 위축시키고 거래량 감소에도 영향을 미쳤다. 이날 발표된 주간 통계는 토허제 지정의 정책효과를 일부 확인한 것으로 볼 수 있다.

잠실에서 영업중인 한 공인중개사는 "토허제 재지정 후 투자 수요가 빠졌고, 실수요자는 저렴한 매물만 찾아 급매물만 간헐적으로 거래되는 모습"이라고 말했다.


'급한 불'은 껐지만…"토허제 효과 단기적" 지적도

토허제 재지정이 서울 집값 상승세를 일시적으로 둔화시키는 효과는 있어도, 장기적 집값 안정을 유도하기는 어려울 전망이다.

단기간에 거래 둔화와 가격 하락이 나타났지만, 수요가 완전히 꺾였다고 보기는 어렵다는 점에서다. 송파구를 제외한 강남권 주요 단지와 재건축 추진 단지에서는 여전히 상승 거래가 이어지고 있다. 마포구와 성동구 등 토허구역으로 지정되지 않은 지역으로 수요가 옮겨가는 '풍선효과'도 배제할 수 없다.

당분간 서울 집값은 투자심리 위축과 관망세로 인해 단기적인 조정을 받을 가능성이 있다. 하지만 강남권 실수요와 장기 투자 수요가 여전히 견고하다는 점에서, 이번 조정이 일시적인 숨 고르기에 그칠 가능성도 있다. 특히 금리 인하 기대감과 전반적인 유동성 증가 등 시장을 떠받치는 요인이 여전히 존재한다.

이런 상황에서 토허제를 다시 푼다면 시장은 또 다시 급등할 우려가 커 이번 토허제 지정 기간이 6개월로만 그치지는 않을 것이란 관측이 벌써부터 나온다.

업계 관계자는 "추가적인 정부 규제 조치나 금리 변동 여부가 시장 흐름을 결정할 주요 변수로 작용할 전망"이라며 "규제가 풀리면 다시 매수세가 유입될 가능성이 크다"고 말했다.

김평화 기자 peace@mt.co.kr

ⓒ 머니투데이 & mt.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