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쏘카가 현대글로비스와 '중고차 플랫폼 성장과 탁송 서비스 효율화'를 위한 협력에 나선다고 31일 밝혔다.
쏘카와 현대글로비스는 양사가 보유한 플랫폼 역량을 결합한다. 현대글로비스의 중고차 플랫폼 오토벨의 비대면 내차팔기 서비스에 쏘카의 탁송 플랫폼 핸들러를 활용한다. 핸들러는 전국 2만5000여대의 쏘카 차량의 이동을 담당하는 탁송 플랫폼이다.
핸들러는 오토벨 매각 차량의 검수와 이동 업무를 담당하게 된다. 오토벨 고객이 비대면 내차팔기 서비스를 통해 매각하려는 차량의 정보를 온라인으로 등록하고 견적을 받으면 핸들러 앱에는 매각 차량에 대한 정보, 이동 경로 및 시간, 보상 등 미션에 대한 정보가 올라온다. 다음날 핸들러는 일정에 맞춰 현장에 방문해 차량 상태를 확인하고 경매장으로 차량을 이동시키는 형태다.
남궁호 쏘카 CBO는 "이번 협업은 전국 단위의 카셰어링 서비스 운영 인프라를 중고차 플랫폼과 결합해 새로운 물류 혁신 가능성을 발굴할 좋은 기회다"며 "핸들러의 넓은 확장성과 기술력을 기반으로 중고차 거래 플랫폼의 효율성을 극대화하고, 나아가 탁송 산업 전반에 혁신을 가져올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쏘카는 지난 2018년부터 전국 쏘카 차량의 이동을 위해 핸들러를 운영해 왔다. 핸들러는 쏘카 회원이 쏘카 차량을 이동시키거나 주유, 전기차 충전, 세차 등 미션을 지칭하는 '핸들'을 수행하고 일정 수익을 보상받는 서비스다. 현재 핸들러의 누적 가입자 수는 18만명이다. 쏘카 차량 운영 규모와 부름·편도 서비스가 꾸준히 증가함에 따라 2024년 한 해 신규 가입자 수만 5만명에 이른다.
김소연 기자 nicksy@mt.co.kr
ⓒ 머니투데이 & mt.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