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사업체 종사자수 한 달 만에 증가 전환…“복지서비스 증가”
[고용노동부 제공]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헤럴드경제=김용훈 기자] 2월 국내 사업체 종사자 수가 증가세로 돌아섰다. 1월 근로자의 실질임금은 전년 동기 대비 13.3% 늘었다.
27일 고용노동부가 발표한 올해 2월 사업체 노동력조사 결과에 따르면 2월 기준 1인 이상 사업체의 종사자는 1995만7000명으로 지난해 같은 달(1993만6000명) 대비 2만2000명(0.1%) 증가했다.
사업체 종사자는 인구 구조 변화 등과 맞물려 2022년 이후 증가세가 계속 둔화하다 올해 1월부로 감소로 돌아섰으나, 한 달 만에 다시 증가했다.
규모별로는 상용 300인 미만은 1659만3000명으로 4000명 증가했고, 300인 이상은 336만4000명으로 1만7000명(0.5%) 늘었다.
이 가운데 건설업은 작년 7월부터 8개월째 감소하고 있다. 전 산업 중 종사자 수 비중이 가장 큰 제조업의 경우 종사자 수가 1년 전보다 6000명(-0.2%) 줄었다.
김재훈 고용부 노동시장조사과장은 “보건복지서비스업 종사자가 많이 증가하고, 건설업 감소 폭이 둔화한 것이 증가 전환에 영향을 미쳤다”며 “보건복지서비스업이 계속 좋은 모습을 보여주고, 건설업이 더 나빠지지 않는다면 증가 상태가 유지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올해 2월 중 입직자와 이직자는 전년 대비 각각 1.7%, 7.1% 줄었다. 채용의 경우 상용직은 9.2% 증가했고, 임시일용직은 2.8% 감소했다.
1인당 월평균 근로 시간은 140.6시간으로 전년 같은 기간과 비교해 14.8% 감소했다. 월력상 근로 일수가 전년 대비 4일 감소했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