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3.31 (월)

트럼프, 자동차 25% 관세 강행…현대차·한국GM 영향은

0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사진= 뉴스1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다음달 2일부터 수입 자동차에 관세를 부과하는 행정명령에 서명하면서 국내 완성차 업체에도 타격이 예상된다. 현대자동차그룹은 북미 생산량 확대로 위기를 극복한다는 계획이지만 북미 판매 비중이 80%가 넘는 GM한국사업장(한국GM)의 경우 국내 철수설이 현실화할 수 있단 우려가 나온다.

트럼프 대통령은 26일(현지시각) 백악관 기자회견을 통해 수입 자동차에 25% 관세를 부과하는 행정명령에 서명했다. 그는 "미국에서 사업을 하고 미국의 일자리를 빼앗고 미국의 부를 빼앗아 간 데 대해 비용을 청구하겠다"고 밝혔다. 관세 부과 시점은 다음달 2일이다.

자동차 관세로 국내 완성차 업체들의 타격도 불가피할 전망이다. 현대차·기아의 경우 지난해 연간 170만대를 북미에서 판매했는데, 이 중 절반 이상이 한국 등에서 수입된 차량이었기 때문이다. SK증권에 따르면 25% 관세 실현 시 현대차·기아의 영업이익이 각각 6조6000억원, 4조1000억원 감소할 것으로 예상된다.

다만 현대차그룹이 현재 미국 조지아주 메타플랜트아메리카(HMGMA) 등을 통해 현지 생산량을 끌어올리고 있어 향후 북미 판매량 내 수입 비중은 30%까지 줄어들 전망이다. 현대차그룹은 현재 30만대 수준인 HMGMA 생산량을 연내 50만대까지 늘릴 예정인데, 현대차 앨라배마 공장 36만대, 기아 조지아 공장 34만대를 포함하면 연간 생산 규모가 120만대까지 증가한다.

트럼프 행정부가 개별 협상 여지를 드러낸 만큼 최근 정의선 현대차그룹 회장이 발표한 대규모 투자계획을 계기로 25%보다 낮은 관세를 부과할 수 있다는 전망도 나온다. 앞서 트럼프 대통령은 관세를 그대로 부과할 것이냐는 취재진의 질문에 "유연성이 있을 것"이라며 개별 협상 여지를 남겼다. 정의선 회장도 "관세 발표 후 협상은 정부 주도하에 개별 기업도 해야 하므로 그때부터가 시작이 될 것"이라고 밝혔다.

반면 한국GM의 경우 관세가 실현되면 타격이 불가피할 전망이다. 한국GM의 지난해 판매량은 49만9559대로 이 중 83.8%에 달하는 41만8782대가 미국에서 팔렸다. 관세가 부과될 경우 수익성이 악화할 수밖에 없다. 미국 GM의 해외 법인인 만큼 현대차그룹처럼 현지 생산 전략을 펼칠 수도 없는 상황이다.

북미 수출량을 국내로 돌리는 것도 쉽지 않다. 한국GM은 지난해 국내에서 2만4824대를 판매했는데, 전년 대비 35.9% 줄어든 수치다. 신차 출시가 늦어지면서 국내 소비자들로부터 외면받았다. 지난해 출시하기로 한 전기 SUV(다목적스포츠차량) '이쿼녹스EV'도 사실상 출시가 무산된 것으로 알려지면서 국내 판매량은 더 줄어들 전망이다.

완성차 업계 관계자는 "트럼프발 25% 관세가 현실화하면 국내 자동차 업계는 비상일 수밖에 없다"며 "현대차그룹이야 추가 대미 투자를 통해 미 생산을 늘려 대응하면 되지만 국내 생산량이 85%에 달하는 한국GM은 막대한 타격을 입을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임찬영 기자 chan02@mt.co.kr

ⓒ 머니투데이 & mt.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