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평원, 국내 최초 난임시술 통계 발표
2022년 20만건·평균 연령 37.9세
체외수정시술 성공률 37%·인공수정은 13%
난임 관련 기획 스케치-차 여성의학연구소 서울역 난임센터의 모습. 사진=조용준 기자 jun21@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은 26일 난임시술 건수와 난임 원인, 임신율 등 난임시술 관련 세부내용을 담은 '통계로 보는 난임시술' 책자를 처음 발간했다.
2022년 기준 난임시술을 시행한 기관은 201곳, 시술 건수는 20만7건이었다. 난임시술 건수는 매년 꾸준히 늘어 2019년 14만6354건과 비교하면 3년 만에 36.7% 증가했다. 결혼 연령이 높아지는 데다 난임시술에 대한 정부 지원이 확대되는 추세여서 2023년 이후에도 난임시술은 계속 증가했을 것으로 추정된다.
난임 원인별로 보면 여성만 난임인 경우가 64.2%, 남성만 난임인 경우 15.0%, 남녀 모두 난임인 경우가 20.8%였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2022년 기준 난임시술을 받은 대상자는 총 7만8543명으로, 평균 연령은 37.9세였다. 체외수정시술을 받은 사람들의 연령대가 상대적으로 높았다.
체외수정 중에서도 신선배아 임신율은 25~29세가 43.8%로 가장 높고, 30~34세 42.9%, 35~39세 37.5%, 40~44세 20.5%로 점점 줄다가 45세 이상은 4.5%로 급감했다. 동결배아 체외수정 임신율도 25~29세엔 50.9%로 절반이 넘지만 30대엔 40%대, 40대 초반엔 30%대로 낮아진 후 45세 이상에선 9.4%로 크게 낮아졌다. 40세 이상을 1세 단위로 나눠 임신율을 비교해도 1세가 많아질수록 임신율이 눈에 띄게 떨어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인공수정의 경우 체외수정보다 대체로 성공률이 낮았는데, 25세 미만이 17.3%로 가장 높고 30~34세 14.5%, 40~44세 7.3% 등으로 낮아지다 45세 이상에선 0.7%로 극히 낮은 임신율을 보였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전문가들은 초혼 연령이 높아지고 있는 점을 고려하면 난임 시술 인구가 앞으로 계속 늘어날 것으로 예상되는 만큼 임신 계획이 있는 부부라면 가능하면 일찍 의료기관을 방문해 검사받는 것이 좋다고 말한다. 이정렬 분당서울대병원교수는 "적어도 35세 이전에는 의료기관을 방문해 가임력 검사를 받고 자연임신 시도를 우선하되 필요하다면 적기에 난임시술을 받으라"고 권유했다.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