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농민회총연맹 회원과 시민들이 서울 종로구 경복궁역 주변에서 26일 오전 트랙터를 견인하려는 경찰과 대치하고 있다. 김영원 기자 forever@hani.co.kr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전국농민회총연맹(전농) 소속 트랙터 1대가 서울 도심에 진입하면서 경찰이 견인을 시도하자, 시민들이 이를 막기 위해 트랙터가 멈춰서 있는 경복궁역 주변으로 모여들었다.
윤석열 즉각 퇴진·사회대개혁 비상행동(비상행동)은 26일 오전 10시 서울 종로구 경복궁역 주변에서 ‘경찰의 트랙터 불법탈취 규탄 비상행동 긴급 기자회견’을 열어 “경찰이 지게차로 트랙터를 견인했고, 경비과장은 견인의 근거가 집회 제한 통고에 대한 법원 결정이라는 말도 안 되는 주장을 하고 있다”고 밝혔다. 소식을 듣고 남태령 등에서 모여든 시민들은 “경찰의 트랙터 불법탈취 규탄한다”, “시민을 폭행한 경찰은 사과하라” 등의 구호를 외쳤다. 트랙터 1대를 둘러싼 경찰과 시민들의 대치로 경복궁 주변 자하문로 5차선 도로 일부 구간 차량 운행 등이 통제됐다.
전농 전봉준 투쟁단은 전날 윤석열 대통령 파면을 촉구하기 위해 ‘트랙터 상경 시위’를 진행하려 했으나 전날 오후 남태령고개에서 경찰 차벽에 막히며 밤샘 대치를 이어갔다. 그러던 중 트랙터 1대가 이날 오전 4시께 서울 종로구 경복궁 서십자각 천막농성장 인근에 진입했다. 트랙터는 충남 지역에서부터 트럭에 실린 채 옮겨졌고 남태령에서 길이 막히자 우회로를 통해 광화문으로 이동한 것으로 확인됐다. 트랙터를 발견한 경찰은 기동대와 지게차를 투입해 견인 조치를 시도했는데, 이 과정에서 시민과 경찰 사이 충돌이 빚어졌다. 경찰에 항의하던 정용준 비상행동 공동상황실장은 경찰에 연행됐다.
전농과 비상행동 쪽은 “경찰의 트랙터 견인 시도는 불법 탈취”라며 트랙터의 원상복구를 요구했다. 윤복남 민주사회를 위한 변호사모임(민변) 회장은 “트랙터는 남태령에서 끌고 온 것이 아니다. 집회 신고에서 금지된 범위 외 트랙터 이용행위는 없었다”며 “트랙터의 위치를 원상 복구하고 연행자를 석방해야 한다”고 밝혔다. 경찰관 직무집행법 6조는 사람 생명이나 신체에 위해를 가할 수 있는 위험한 물건일 경우 강제로 반출할 수 있도록 하지만 이번 사안은 해당 요건을 충족하지 못한다는 게 민변 쪽 설명이다.
전국농민회총연맹 회원과 시민들이 서울 종로구 경복궁역 주변에서 26일 오전 트랙터를 견인하려는 경찰과 대치하고 있다. 김영원 기자 forever@hani.co.kr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전날 오후부터 남태령에서의 밤샘 시위에 이어 경복궁 집회 현장까지 지키게 된 시민들도 트랙터를 막아선 경찰을 규탄했다. 자신을 학교 밖 청소년이라고 소개한 이아무개(18)씨는 “전날 경찰 차벽이 빠지는 것만 보고 집으로 돌아가려 했는데 길이 끝까지 열리지 않아 밤을 지샜다”며 “그러던 중 광화문에서 벌어진 ‘경찰의 트랙터 탈취’ 소식을 듣고 이곳까지 오게 됐다. 도대체 트랙터가 무슨 잘못을 저지른다고 이토록 막으려 하는 건지 모르겠다”고 토로했다. 밤샘 시위에 연차를 썼다는 직장인 김하은(30)씨도 “일을 더 크게 만드는 건 경찰”이라며 “경찰이 애초에 남태령에서 트랙터를 막지 않았다면 벌써 광화문 집회를 끝낸 뒤 돌아갔을 것”이라고 말했다.
박고은 기자 euni@hani.co.kr
▶▶한겨레는 함께 민주주의를 지키겠습니다 [한겨레후원]
▶▶한겨레 뉴스레터 모아보기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