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우크라 종전 나선 트럼프 최종 목표는 진짜 노벨평화상? [디브리핑]

0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트럼프의 오래된 꿈(?) ‘노벨평화상’
우크라 휴전 중재 속 노벨상 야망 여전
디브리핑(Debriefing:임무수행 보고): 헤럴드경제 국제부가 ‘핫한’ 글로벌 이슈의 숨은 이야기를 ‘속시원히’ 정리해드립니다. 디브리핑은 독자와 소통합니다. 기사 하단 [디브리핑] ▶구독◀을 누르시면 알찬 연재물을 보실수 있습니다. 궁금한 내용은 댓글로 남겨주세요!

노벨평화상과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합성 사진. [플릭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정말 안타까운 일입니다. 나는 (노벨평화상을) 받을 자격이 있지만, 그들(노벨상 심사위원)은 절대 나에게 주지 않을 것입니다.”지난 2월 베냐민 네타냐후 이스라엘 총리와 회담을 마친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발언
[헤럴드경제=김빛나 기자] 우크라이나 및 가자 전쟁 휴전 협상을 중재하는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노벨평화상에 대한 야망을 저버리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24일 뉴욕타임스(NYT)에 따르면 트럼프 대통령의 전·현직 고문들은 트럼프가 우크라이나와 중동 전쟁을 중재하면서 노벨평화상을 마음에 두고 있다고 전했다. NYT는 “트럼프의 노벨상 집착은 세계 평화 그 이상이다”고 했다.

“아무것도 안한 오바마도 받는데” 내심 기대

24일(현지시간)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미국 워싱턴 백악관 이스트룸에서 열린 그리스 독립기념일 기념 행사에 참석했다. [AP]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특히 트럼프 대통령은 버락 오바마 전 대통령과 자신을 비교하며 노벨평화상을 갈구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트럼프 대통령은 측근에게 “오바마 대통령은 아무것도 하지 않는데 노벨상을 받았다”며 “그가 받을 자격이 없었다”고 이야기한 것으로 전해진다. 실제 지난해 10월 디트로이트 경제 클럽 연설에서 “내 이름이 오바마였다면, 노벨 평화상은 10초 만에 내 손에 들어왔을 것”이라고도 주장했다.

트럼프의 눈치를 보고 있는 일부 정치인들은 노벨평화상을 적극 추천하고 있다. 스티븐 청 백악관 공보국장은 “트럼프가 궁극적으로 평화를 이뤄낸 대통령이라는 인정을 받지 못하면 노벨평화상은 정당성을 잃게 될 것”이라고 밝혔다.

공화당 하원의원 대럴 아이사(캘리포니아)는 “3월 중으로 중동 평화 확보에 이바지한 공로로 트럼프를 추천하겠다”고 밝혔다. 또한 클라우디아 테니(뉴욕) 공화당 하원의원도 지난해 트럼프 대통령을 노벨상에 추천하기로 했다.

“진정한 평화 보인 사람만…” 수상자의 일침
NYT는 “트럼프의 최측근 보좌관들 역시 그가 노벨상을 받아야 한다는 캠페인을 적극 지지하고 있다”며 “이들은 종종 폭스뉴스나 보수정치행동회의(CPAC)와 같이 트럼프가 접하는 매체 및 단체에서 자발적으로 이 문제를 언급한다”고 전했다.

하지만 정작 전문가들은 트럼프식 평화를 비판하는 입장이다. 전쟁을 초래한 러시아와 손을 잡거나 우크라이나에 광물 협정을 강요하는 등 평화에 따른 대가를 요구하기 때문이다. 스웨덴 마그누스 야콥손 국회의원은 “트럼프는 러시아와 우크라이나 간 평화를 위해 일하고 있는 것이 아니며 더 많은 분쟁을 일으키고 복잡한 상황을 만들고 있다”며 “유럽은 행복하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2016년 노벨 평화상 수상자인 후안 마누엘 산토스 전 콜롬비아 대통령도 “상을 받기 위해 노력한다고 해서 상을 받지는 못한다”며 “노벨평화상은 진정한 평화에 대한 의지와 행동을 보인 사람들만이 수상했다”고 강조했다.

노벨평화상으로 가는 길 쉽지 않아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이 24일(현지시간) 러시아 모스크바 크렘린궁에서 열린 행사에 참석했다. [AP]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트럼프 대통령이 노벨평화상을 받기 위해서는 우크라이나 전쟁을 멈춰야 하는데, 상황이 좋은 것도 아니다. 이날 미국은 사우디아라비아에서 러시아와 우크라이나 휴전 방안을 놓고 12시간에 걸친 마라톤회담을 했고, 다음날인 25일에는 우크라이나와도 릴레이 휴전 협의에 나선다. 현재 미국과 러시아, 우크라이나는 에너지 시설에 대한 30일 휴전을 진행하는 ‘에너지·인프라 30일 휴전’을 논의하고 있다.

에너지 30일 휴전에 대한 합의가 나온다고 해도 완전한 휴전으로 가는 길은 순조롭지 않을 전망이다. 애초 미국은 애초 30일간의 전면 휴전을 추진했으나 러시아는 이를 받아들이지 않았다.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은 북대서양조약기구(NATO·나토) 동유럽 철수, 우크라이나의 나토 가입 포기, 우크라이나의 전면 무장해제 등 우크라이나가 받아들일 수 없는 극단 주장을 되풀이하고 있다. NYT는 “두 나라(우크라이나와 러시아) 모두 합의가 불가능해 보이는 적대행위에 대한 완전 중단 조건을 제시하고 있다”고 평가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