온라인 극우 커뮤니티 중심으로 확산
아르바이트 영수증 가져다 사실 왜곡
통역요원·국외훈련 내용 등 ‘짜깁기’
혐오 발언 선 못 긋는 정치권 책임도
헌법재판소의 윤석열 대통령 탄핵 심판 선고가 임박한 19일 서울 종로구 헌법재판소 인근에서 경찰이 경계 근무를 서고 있다. 문재원 기자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헌법재판소의 윤석열 대통령 탄핵심판 결정이 임박하면서 극우 성향 온라인 커뮤니티를 중심으로 ‘경찰에 중국인이 다수 잠입해있다’는 음모론이 확산하고 있다. 전문가들은 윤 대통령 지지자들이 ‘경찰은 중국인이니 때려도 된다’는 식으로 폭력과 혐오를 정당화할 수 있다고 우려했다.
20일 극우 성향 인터넷 커뮤니티 디시인사이드 미국정치갤러리(미정갤) 등을 보면 최근 ‘중국 공안 경찰이 한국 경찰로 채용돼 일하고 있다’는 내용의 글이 다수 올라왔다.
중국인이 ‘한국 경찰’ 일하며 SNS에 인증?
지난 17일 미정갤에 올라온 ‘중국인 경찰 팩트’라는 글은 중국인이 한국 경찰에서 일하고 있다고 주장하며 그 증거로 중국 SNS에 올라온 한국 경찰 관련 게시물을 제시했다. 해당 게시물에는 2022년 10월 충북경찰청장 명의로 받은 7만1000원 영수증 사진, 한국 경찰 제복이 걸린 옷장 사진 등이 있다.
‘경찰 통역요원’으로 중국인이 채용?
서울경찰청에 따르면 ‘통역요원’은 경찰이 아니다. 피의자·피해자가 외국인일 때 수사관과 의사소통을 도와주는 ‘전문가 풀’에 가깝다. 서울경찰청 관계자는 “통역요원은 일정 수준에서 늘어나지 않았다”며 “약 4000여명의 통역요원 중 중국인은 800여명에 불과하고 전체 경찰 인원과 비교하면 극히 일부분”이라고 말했다.
한국 경찰을 중국 공안으로 만들기 위해 유학을 보냈다?
‘한국 경찰을 중국 공안으로 만들기 위해 유학을 보냈다’는 주장도 나왔다. 한 경찰관이 2016~2018년 중국 샤먼대학으로 경찰행정 분야 ‘국외 훈련’을 다녀온 뒤 낸 ‘통일 한국 치안 환경에 적합한 경찰제도, 효율적 치안 확보 방안에 관한 연구’ 보고서가 근거다. 이 주장을 하는 사람들은 “북한과 (한국을) 중국의 속국으로 만든 뒤 자치구일 때 공안 시스템이 필요하다고 쓴 경찰청의 자백”이라고 말한다.
국외훈련을 중국으로만 가는 것도 아니다. 경찰청에 따르면 해당 보고서는 인사혁신처의 ‘국외훈련 장기 일반과정’을 다녀온 경찰관이 작성했다. 이 과정은 경찰뿐 아니라 공무원 전반이 활용할 수 있다. 경찰청 관계자는 “최근 3년간 국외훈련을 떠난 경찰 중 중국으로 간 사람은 1명뿐”이라고 말했다.
지난 7일 경기 의왕시 서울구치소 앞에 윤석열 대통령 지지자들이 “빨갱이는 죽여도 돼”라는 문구가 적힌 팻말을 들고 있다. 오동욱 기자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한 극우 성향 카카오톡 오픈대화방에 20일 ‘중국 경찰’ 음모론이 확산하고 있다. 카카오톡 오픈대화방 캡처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극우 세력’은 지난 1월19일 서부지법 난동사태 직후에도 일부 경찰관의 발음을 문제 삼으면서 ‘중국 경찰설’을 퍼트렸다. 집회에서도 “중국인, 빨갱이는 죽여도 된다”는 말이 자주 나온다. 이주희 이화여대 사회학과 교수는 “극단적 혐오 발언을 일삼는 극우 세력에 대해서 정치권이 ‘선 긋기’를 하지 않은 탓에 자신들과 직접 대치하는 경찰을 향한 혐오가 드러나는 것”이라며 “극단적 혐오 발언을 규제할 수 있는 논의를 시작해야 한다”고 말했다.
▶ 매일 라이브 경향티비, 재밌고 효과빠른 시사 소화제!
▶ 계엄, 시작과 끝은? 윤석열 ‘내란 사건’ 일지 완벽 정리
©경향신문(www.khan.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