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일 업계에 따르면 KT는 전날 종가 기준 5만700원을 기록하면서 지난 2010년 1월 이후 가장 높은 주가를 기록했다. 이날도 장 초반 5만1000원을 넘어서면서 전날 상승세를 이어가다가 종가 기준 5만700원으로 마감했.
KT 광화문 East 사옥 전경 [사진=KT]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KT가 15년 만에 5만원의 주가를 넘어선 데는 김 대표의 역할이 크다는 것이 업계의 중론이다.
김 대표는 지난 2023년 8월 KT의 신임 대표에 선임됐다. LG맨 출신의 재무통으로 LG CNS의 디지털 전환(DX)을 이끌었고 LG유플러스 부사장을 지내면서 통신에 대한 이해도도 높다는 점이 선임의 배경이었다.
이에 AI 부문 강화를 위한 조직 개편도 단행했다. 기존 조직이었던 정보기술부문과 융합기술원을 통합해 기술혁신부문을 신설했고 AI 연구개발(R&D) 조직을 확대했다. AI2X(AI To Everything Lab) 연구소 외 AI테크랩을 신설했다.
이 조치로 KT는 엔터프라이즈 부문이 AI 전환에서 중요시되고 있는 AI 융합사업까지 총괄하게 됐다.
글로벌 빅테크와 협업도 KT의 주가 상승에 영향을 줬다는 평가다. KT는 마이크로소프트와 AI·클라우드·IT 분야에서 긴밀한 협력을 위한 파트너십을 체결했다.
양사는 ▲AI·클라우드 연구개발 공동 프로젝트 ▲한국형 AI·클라우드·IT 서비스 개발 ▲AI·클라우드 이노베이션 센터 구축 ▲AI·클라우드 인재 양성 등을 함께할 계획이다.
KT 관계자는 "이번에 공개한 AI 에이전트 4종은 특정 업무·분야에 특화된 에이전트를 커스터마이징해 모델로 제시한 것"이라며 "향후 B2B 시장 컨설팅 등에 활용할 예정"이라고 전했다. KT는 한국 시장에 최적화된 '한국적 AI'를 2분기에 국내에 선보인다는 계획이다.
KT는 AI 플랫폼 기업 팔란티어와도 지난 13일(현지 시간) 미국에서 AX(AI 전환) 사업 가속화를 위한 전략적 파트너십을 체결했다.
양 사는 ▲금융업 등 국내 AX 시장 대상 공동 비즈니스 ▲'KT 시큐어 퍼블릭 클라우드(Secure Public Cloud: SPC)' 협력 ▲'한국형 AIP 부트캠프(Bootcamp: AI 플랫폼 교육 프로그램)' 공동 개발 ▲임직원 AI·데이터 역량 교육을 함께 추진한다.
KT는 지난해 일회성 인건비의 반영으로 전년 대비 50%가 줄어든 영업이익 8095억원을 기록했다. 매출은 26조4312억원으로 사상 최대치를 기록했지만 인건비 비용으로 영업익은 50.9% 줄었다. 인건비를 제외할 경우 영업익은 1조8188억원으로 전년 대비 9.8% 늘었다.
전환 배치 등 인력 재배치로 KT 본사가 절감한 금액은 5000억원 수준인 것으로 알려졌다. 여기에 오는 2028년까지 매년 2500억원 가량의 자사주 매입과 소각이 예정돼 있다. 이에 증권가에서도 KT의 주가가 향후 추가적으로 오를 수 있다고 전망한다.
김홍식 하나증권 연구원은 "희망 퇴직 및 자회사 전환 배치로 인한 본사 인건비 절감액이 5000억원, 본사 영업이익 추정치가 1.8조원, 본사 순이익 추정치 1.4조원"이라며 "주주이익환원 금액이 9500억원에 달할 것임을 감안하면 KT 주가 상승은 추가로 나타날 가능성이 높다"고 전망했다.
[바르셀로나=뉴스핌] 사진공동취재단 = 김영섭 KT 대표가 지난 4일(현지시간) 스페인 바르셀로나 하얏트 리젠시에서 열린 'MWC25 KT 경영진 기자간담회'에서 모두발언을 하고 있다.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origin@newspim.com
저작권자(c) 글로벌리더의 지름길 종합뉴스통신사 뉴스핌(Newspim),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