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이슈 의대 정원 확대

정부 "의대생 복귀 전제로 내년 의대정원 3058명 수용"

0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이주호 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이 의과대학 선진화를 위한 총장협의회 회장단 양오봉 전북대 총장, 이해우 동아대 총장, 한국의과대학의학전문대학원협회 이종태 이사장 등과 7일 서울 종로구 정부서울청사에서 학생 복귀 및 의대교육 정상화 브리핑을 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정부가 의대생 복귀를 전제로 2026학년도 의과대학 모집인원을 증원 이전 수준인 3058명으로 되돌리기로 했습니다.

이주호 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은 오늘(7일) 정부서울청사에서 학생 복귀 및 의대 교육 정상화 관련 브리핑을 열고 의료계가 건의한 방안을 수용하겠다고 밝혔습니다.

모든 의대생이 3월에 복귀해 2025학년도 수업이 정상적으로 진행된다면 2026학년도 모집인원을 2024년 정원 수준으로 조정한다는 내용입니다.

이 부총리는 "다양한 논의 가운데 지난 2월 의대협회는 2026학년도 모집인원을 3058명으로 수용할 경우, 의대생을 반드시 복귀시키겠다는 학장들의 각오가 담긴 서한문을 정부에 전달했고, 대학 총장들에게도 제안했다"며 "총장들도 고심 끝에 이같은 내용을 정부에 건의했다"고 설명했습니다.

이어 "정부는 3월 말 학생들의 전원 복귀를 전제로 2026학년도 모집인원에 대해 의총협 건의에 따른 총장들의 자율적인 의사를 존중하고자 한다"며 "다만 3월 말까지 의대생이 복귀하지 않을 경우 해당 방안은 철회되고 입학정원은 당연히 5058명으로 유지될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여기서 '전원'의 경우, 각 학교에 따라 다르겠지만 상식적인 범위 안에서 결정하고 대학의 자율을 최대한 존중할 것이라는 설명입니다.

이에 따라 의대생들이 이달 안에 복귀한다면 각 대학은 2026학년도 모집인원을 3058명으로 변경하는 절차를 밟게 됩니다.

한편 최대 7500명에 이르는 24학번과 25학번의 1학년 교육을 어떻게 운영할지에 대해 의대협회가 교육부에 제안한 모델도 공개됐습니다.

▲ 24·25학번 동일 교육과정 운영 후 동시 졸업(모델1) ▲ 24학번 1∼2학년 과정 재설계를 통한 순차 졸업(모델2) ▲ 1학년 1학기를 이수한 24학번 대상 올해 1학기 바로 복학 후 순차 졸업(모델3) ▲ 24학번 4∼6학년 과정 재설계를 통한 순차 졸업(모델4) 등 네 가지입니다.

이 부총리는 "제안된 모델을 토대로 각 대한은 교육 여건과 구성원들의 의견을 고려해 교육 방안을 수립할 것"이라며 "정부는 대학별로 수립한 방안이 실행되는 데 필요한 행·재정 지원을 추진하겠다"고 밝혔습니다.



유혜은 기자

JTBC의 모든 콘텐트(기사)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은바, 무단 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Copyright by JTBC All Rights Reserved.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