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지난 28일 밤 김해공항에서 발생한 에어부산 여객기 화재가 기내 선반에서 시작됐다는 목격자의 증언이 이어지면서 휴대용 보조 배터리가 화재 원인일 가능성이 조심스럽게 제기되고 있다. 국내외 항공기에서 이러한 배터리가 원인으로 추정되는 화재가 잇따르면서 기내 반입 물품에 대한 규정 강화도 요구되고 있다.사진은 30일 인천국제공항 출국장에 설치된 위탁 금지물품 안내문. [사진=연합뉴스]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부산 김해국제공항에서 발생한 에어부산 항공기 화재 원인으로 보조배터리 발화 가능성이 제기되며 배터리 화재 사고 문제가 다시 한번 도마에 올랐다. 배터리 화재는 대형 사고로 이어질 가능성이 높은 만큼 국가 차원에서 화재 예방 대책을 마련해야 한다는 지적이다.
30일 업계에 따르면 국내 전기차, 휴대전화, 노트북 등 전자기기와 전기설비에 사용되는 배터리 대부분은 화재에 취약한 리튬이온 배터리다.
리튬이온 배터리는 높은 에너지 밀도와 효율, 비교적 긴 수명으로 인해 배터리 시장에서 각광받고 있지만 화재에 매우 취약하다는 단점이 있다.
특히 리튬은 다른 물질과 반응성이 강해 화재 발생 시 피해 규모가 더 커질 수 있다. 지난해 8월 차량 800여 대에 피해를 준 인천 청라 전기차 화재 원인으로도 리튬배터리 손상 가능성이 거론되고 있다.
이번 에어부산 여객기 화재 원인으로 지목된 보조배터리도 크게 다르지 않다. 보조배터리는 대용량의 전력을 보관하기 위해 좁은 공간에 셀을 집중적으로 배치하는 구조다. 이에 대형 배터리셀과 달리 외부 충격과 과전류에 노출돼 작은 충격에도 발화 또는 폭발할 수 있다.
더 큰 문제는 이러한 리튬이온 배터리 화재를 잡을 대책이 없다는 것이다. 리튬이온 배터리 화재 시 열폭주 현상이 발생할 수 있어 국내외에서 유통 중인 일반 소화기로는 진압이 사실상 불가능하고 오로지 ‘물’을 사용해야 한다.
이에 리튬이온 배터리 사용 규제를 강화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화재 위험성이 높은 만큼 안전 사양 등이 인증되지 않은 배터리를 유통 또는 구매할 수 없도록 사전 규제를 강화해야 한다는 것이다.
현재 항공법상 리튬메탈배터리는 리튬 함량이 2g 이하, 리튬이온배터리는 100Wh 이하만 기내 휴대가 가능하다. 보조배터리는 위탁수하물로는 부칠 수 없다.
‘탈 리튬’ 움직임을 강화해야 한다는 지적도 나온다. 위험성이 큰 리튬 대신 안정성이 상대적으로 보장되는 전고체 전지나 대용량 에너지 저장이 가능한 차세대 나트륨 전지 등을 활용해야 한다는 것이 전문가들의 공통된 의견이다.
이미 LG에너지솔루션, 삼성SDI, SK온 등 국내 주요 배터리 3사는 2028년 안팎으로 전고체 배터리를 상용화할 계획을 밝힌 상태다. 이는 기존에 업계가 예상했던 상용화 시기인 2030년보다 2년 정도 앞당겨진 수준이다.
아주경제=이나경 기자 nakk@ajunews.com
- Copyright ⓒ [아주경제 ajunews.com] 무단전재 배포금지 -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