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0년 소행성 베누의 샘플을 채취한 뒤 2023년 9월 4일 미국 유타주 사막에 귀환한 오시리스-렉스를 미 항공우주국(NASA)의 과학자들이 회수하고 있다. 로이터=연합뉴스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약 45억년 전에 생겨난 것으로 추정되는 소행성 '베누'(Bennu)에서 다양한 아미노산과 DNA를 구성하는 염기 성분 등이 발견됐다. 지구 생명체의 우주 기원설에 힘을 싣는 결과라는 의견이 나온다.
29일(현지시간) 미 항공우주국(NASA·나사) 고다드 우주비행센터 등이 참여한 국제연구진은 국제학술지 네이처 천문학에 실린 관련 논문에서 이런 연구결과를 공개했다.
2020년 나사의 소행성 탐사선 '오시리스-렉스'(OSIRIS-REx)가 베누 표면에서 채취해 온 돌과 먼지 등을 분석한 결과 33종의 아미노산을 비롯한 수천 개의 유기분자 화합물이 나왔다는 것이다.
또, 베누에서 채취한 샘플에는 DNA를 구성하는 4가지 염기인 아데닌, 구아닌, 사이토신, 티민과 RNA에 있는 우라실 등이 모두 들어있었다.
아미노산 등 생명체 구성 물질의 샘플을 채취한 소행성 베누의 모습. 오시리스-렉스가 약 24 km 떨어진 위치에서 촬영했다. 로이터=연합뉴스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오시리스-렉스는 지구에서 약 3억3300만㎞ 떨어진 베누의 표면에서 121.6g의 샘플을 채취, 2023년 9월 지구로 귀환했는데, 이 과정에서 완전한 밀봉 작업을 통해 지구 대기와의 상호 작용을 막았다는 뜻이다.
글래빈은 "베누와 같은 소행성들이 우주의 거대한 화학공장처럼 활동하며 지구를 비롯한 태양계의 여러 천체에 생명체의 원재료를 배달했을 수 있음을 시사하기에 매우 흥미롭다"고 말했다.
수십억년 전 베누와 같이 생명을 구성하는 기본 원소를 지닌 소행성이나 그 파편이 지구에 떨어져 생명체 탄생에 도움을 줬을 수 있다는 이야기다.
과학자들은 우주 탄생 초기 태양계 외곽에 물과 암모니아가 풍부한 직경 100㎞ 이상의 소행성이 있었고 그 내부에서 다양한 유기분자가 생겨났으나 이후 충돌 등으로 파괴돼 오늘날의 베누가 됐다고 보고 있다.
니키 폭스 NASA 과학임무국 부국장은 이날 기자회견을 통해 두 편의 논문에 실린 연구결과를 전하면서 "이건 획기적인 과학적 발견"이라고 평가했다.
이승녕 기자 lee.francis@joongang.co.kr
▶ 넌 뉴스를 찾아봐? 난 뉴스가 찾아와!
ⓒ중앙일보(https://www.joongang.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