월급 2.8% 늘 때 물가 3.6% 올라…2009년 이후 최대 간극
직장인 구매력 2년 연속 뒷걸음…"근로소득자 지원해야"
(자료사진) /뉴스1 ⓒ News1 민경석 기자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서울=뉴스1) 김혜지 기자 = 직장인 월급이 2.8% 늘어나는 동안 물가는 3.6% 뛰면서 2100만 명에 육박하는 근로 소득자들의 실질 구매력이 뒷걸음친 것으로 나타났다.
심지어 소득 증가세와 물가 오름세 사이 격차는 금융위기 이후 약 15년 만에 가장 크게 벌어졌다.
30일 국회 기획재정위원회 소속 임광현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국세청에서 받은 근로소득 천분위 자료를 보면 2023년(귀속 연도) 1인당 평균 근로소득(총급여 기준)은 4332만 원으로 전년(4213만 원)보다 2.8% 증가했다.
근로소득 증가율이 같은 해 소비자물가 상승률(3.6%)보다 0.8%포인트(p) 낮았다.
우리나라에서 근로소득 증가율은 대부분 소비자물가 상승률을 웃도는 양상을 보여 왔으나, 코로나19 대유행 이후 고물가 현상이 심화하면서 두 지표가 역전된 것이다.
지난 2022년에도 물가 상승률은 소득 증가율을 제쳤다. 당시 근로소득 증가율은 4.7%,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5.1%로 0.4%p 격차가 났다.
(임광현 의원실 제공)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봉급자들의 구매력을 뜻하는 실질 근로소득이 2년 연속으로 줄어든 데다 두 지표 사이 역전 폭마저 1년 새 두 배 확대된 상황으로 요약된다.
근로자 세금 부담은 소폭 감소했지만, 감세 혜택은 소득 최상위권에 몰리기도 했다.
다만 근로소득자 최상위 0.1% 구간(2만 852명)의 2023년도 결정세액은 1인 평균 3억3290만원으로 전년 대비 1836만 원(-5.2%) 크게 줄어든 반면, 중위 50% 구간(20만 8523명)은 29만2054만원으로 전년 대비 0.9% 되레 늘어났다.
임광현 의원은 "2085만 근로소득자의 소득 증가세가 낮아지고 물가를 고려한 구매력을 나타내는 실질 소득 감소세가 커지고 있다"며 "근로소득자의 소득 증가를 지원하는 조세·재정 정책에 집중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icef08@news1.kr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