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이슈 윤석열 정부 출범

민주 "중도층 윤석열 파면·민주당 정권교체 우세"(종합)

0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이재명 개인 지지 큰 폭 1위 유지…정권교체 큰 흐름"

보수층 결집엔 "극우화 흐름…중도 확산에 도움 안 돼"

[서울=뉴시스] 조성우 기자 = 김민석 더불어민주당 최고위원이 30일 오전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설 민심 간담회에서 발언하고 있다. 2025.01.30. xconfind@newsis.com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서울=뉴시스] 김지은 기자 = 더불어민주당은 30일 진보층과 중도층에선 윤석열 대통령에 대한 파면과 민주당의 정권 교체가 우세하다고 분석했다.

김민석 민주당 최고위원은 이날 국회에서 설 민심 간담회를 열고 "실제 민심과 관련해서는 중도층의 흐름이 중요하다"며 "현장 여론과 여론조사를 종합한 설 연휴 민심을 보면 윤석열 탄핵 및 파면 찬성과 민주당 지지, 즉 정권 교체론이 우세하다"고 밝혔다.

이어 "이재명 대표의 개인 지지가 큰 폭의 1위를 계속 유지하고 있다"며 "이재명으로 정권교체의 큰 흐름이라 할 수 있다"고 주장했다.

김 최고위원은 "윤석열 구속기소가 확정된 시점에서 이 흐름은 앞으로도 유지될 것"이라며 "국가위기에 위기극복의 안정적 리더십을 요구했던 과거 김대중, 문재인 대통령의 예를 감안할 때도 국가위기인 현재 이 흐름은 더욱 강화되어 상수가 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최근 국민의힘 지지율 상승세의 원인으로 지목되는 보수층 결집에 대해서는 "보수층 내의 극우 강세 흐름"이라며 "극우화 흐름은 여론조사로 볼 때 중도층 지지 확산에는 도움이 되지 않는다"고 잘라 말했다.

그는 "이미 전광훈 집회와 극우 유튜버가 집권당 국민의힘을 좌지우지하며 보수의 중심에 자리 잡은 상황"이라며 "계엄내란 옹호, 부정선거론 확산, 법원폭동 옹호, 김문수(고용노동부 장관 대선) 후보 부상 등이 그 현상이다. 보수가 뉴라이트를 넘어 폭력, 테러, 파시즘과 결합할 수 있는 극우화의 조짐"이라고 비판했다.

그러면서 여댱을 겨냥해 "극우의 극복은 한국민주주의의 새로운 과제가 되고 있다"며 "계엄내란 이후 대한민국의 정상화를 위해 이미 망상성과 폭력성이 드러난 전광훈식 극단주의와의 절연은 반드시 필요하다"고 질타했다.

아울러 "이런 극우화는 이재명 때리기에 올인하는 쪽으로 방향을 잡는 데에는 상당한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인다"며 "집권당이 윤석열과 똑같이 모든 사법기관과 절차를 비판, 부정하고 오로지 이재명 때리기만을 정치적 생존전략으로 설정하는 것은 결과의 실패가 뻔한 자해행위"라고 일갈했다.

민주당은 설 연휴 이후에는 민생 경제 회복에 당력을 집중하겠다는 방침이다. 이와 관련 민생회복지원금과 추가경정예산(추경) 편성, 연금개혁 등을 추진 중이다.

김 최고위원은 "연휴기간 중 민주당을 향해 전국 곳곳에서 가장 많이 쏟아진 주문은 '(내란을) 빨리 끝내고 경제 살려라'는 것이었다"며 "현재도 긴장을 놓을 수는 없지만 큰 틀에서 윤 대통령 구속 기소가 이뤄졌다. 헌법재판소 (탄핵심판) 상황을 면밀히 주시하면서 전체적인 당력을 민생 경제 회복 쪽으로 한 걸음 옮기는 것을 큰 방향으로 생각하고 있다"고 했다.

이어 "단결해서 내란옹호흐름과 싸우면서도 국민을 안심시킬 보다 좋은 민생정책을 내놓으며 정치를 보다 정상화하는 국면으로 설 연휴를 기점으로 전환해갈 것"이라며 "흔히 얘기하는 조기 대선 차원은 아니지만 민심의 요구에 따라 경제회생과 그를 위한 중장기 성장전략 마련 노력을 더욱 강화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김 최고위원은 국민의힘이 문형배 헌법재판소장 권한대행과 이재명 대표의 친분을 들어 윤 대통령 탄핵심판의 공정성 문제를 제기한 데 대해서는 "계엄 내란 이후에 여당의 수준이 지나치게 떨어진 것 같다"고 직격했다.

그는 "윤석열 파면을 예감하고 불복의 밑자락을 까는 것인지 모르나, 대한민국 사법 수준을 연고주의로 환치하려는 퇴행적 접근"이라며 "서울대 법대 나온 판사는 서울대 법대 나온 피고를 다 봐줄 것이라는 수준의 얘기는 옹색하다"고 덧붙였다.

☞공감언론 뉴시스 kje1321@newsis.com

▶ 네이버에서 뉴시스 구독하기
▶ K-Artprice, 유명 미술작품 가격 공개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