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래 방치된 집 칩입해 귀중품 등 노려
“방지하려면 우편함·잡초 등 관리 필요”
요미우리신문은 “지난해 1월부터 11월까지 전국 피해액은 110억엔(약 1011억원)을 넘어서며 전년보다 30억엔(약 275억4720만원) 넘게 증가했다"며 최근 이 같이 보도했다.
일본 경찰청 집계를 보면 해당 기간 전국 빈집에서 발생한 침입 절도 사건은 8192건(잠정)이다. 피해액은 116억엔(약 1065억1600만원) 규모다. 특히 도호쿠, 주부, 규슈 일부 지역에서 피해가 두드러졌다.
요미우리 보도에 따르면 통계 작성을 시작한 2020년 이후 최고치를 기록한 2023년보다 피해 건수는 10%, 피해액은 60% 증가했다. 2020년과 비교한 피해액은 약 3.7배로 늘었다.
특히 외국인 일당에 의한 범죄 사례가 많았다. 지난해 군마현 경찰은 2023년 9월부터 지난해 7월까지 군마, 도치기, 사이타마, 니가타를 돌며 약 420채의 빈집을 턴 혐의로 베트남 국적 남녀 3명을 체포했다.
일본의 주택가. 사진은 기사 내용과 직접적인 관계 없음. 픽사베이 |
일본에서는 대개 1년 내내 장기 방치된 집을 빈집으로 칭한다. 2023년 총무성 조사를 보면 일본 전국에서 파악된 빈집은 약 900만채로 사상 최대치를 기록했다. 이 가운데 거주나 임대 목적이 아닌 순수하게 방치된 빈집은 약 386만채로 40%를 넘겼다. 이는 1993년 약 149만채에서 지난 30년간 약 2.6배로 늘어난 것이다.
빈집이 절도범의 표적이 되는 이유는 침입 후에 물건을 훔치기 쉽고 범행 사실이 발견되기까지 시간이 걸리기 때문이다. 경찰에 따르면 비교적 새로운 빈집이 자주 침입당하고 있으며, 장기 출장 등으로 오랫동안 비어 있는 집을 노리는 일당도 있다.
하마다 연구원은 “인체 감지 센서가 부착된 조명, 경보 장치, 밤에 집에 사람이 있는 것처럼 보이도록 하는 타이머식 실내조명 등도 빈집 범죄 예방에 유용하다”고 부연했다.
최승우 기자 loonytuna@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