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이슈 세계 금리 흐름

미 연준, 기준 금리 4.25~4.5% 동결...”인플레 우려”

0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파이낸셜뉴스]

미국 연방준비제도(연준)가 29일(현지시간) 올해 첫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회의를 마무리하면서 기준 금리를 동결했다. 제롬 파월 연준 의장이 지난달 18일 워싱턴 연준 청사에서 FOMC 뒤 기자회견을 하고 있다. EPA 연합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미국 연방준비제도(연준)가 29일(현지시간) 기준 금리 동결을 결정했다.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연준과 상의해 금리를 낮추도록 하겠다며 압박했지만 연준은 흔들리지 않았다.

연준은 이날 이틀에 걸친 올해 첫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회의를 마무리하면서 예상대로 기준 금리인 연방기금(FF) 금리 목표치를 4.15~4.50%로 동결했다.

연준이 이날 금리를 동결하고, 향후 추가 인하와 관련해 부정적인 뉘앙스를 풍김에 따라 뉴욕 증시 3대 지수는 낙폭이 확대됐다.

인플레이션 압력


연준은 지난해 9월을 시작으로 세 차례 FOMC에서 매번 금리를 내렸다. 9월 0.5% p, 11월과 12월 각각 0.25% p씩 모두 1.0% p를 낮췄다.

연준은 트럼프 대통령의 압박에도 불구하고 금리를 동결한 원인을 짐작하게 하는 설명을 내놨다.

인플레이션(물가상승)에 대한 우려였다.

지난달 성명에서는 인플레이션이 연준의 2% 목표를 향해 진전을 이루고 있다고 평가했지만 이번에는 이 표현이 빠졌다.

인플레이션 압력을 높일 요인인 노동시장에 대해서는 이전보다 더 낙관적이었다.

노동시장 수급이 이전에 비해 더 팍팍할 것으로 본다는 것으로 이는 인플레이션 압력이 높아진다는 뜻이다.

FOMC는 이날 성명에서 “실업률이 최근 수개월 낮은 수준에서 안정됐고, 노동 시장 여건은 여전히 탄탄하다”면서 “인플레이션이 약간 높은 상태를 유지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인플레이션이 좀체 떨어지지 않고, 노동시장이 이전보다 더 강화됐다는 것은 연준의 금리 인하 가능성이 더 멀어졌다는 것을 가리킨다.

추가 금리 인하에 나서야 할 또 다른 명분인 경제 상황은 좋다고 연준은 판단했다.

성명은 미 경제가 “탄탄한 속도로 확장을 지속하고 있다”고 결론냈다.

금융시장 압박


금융 시장은 압박을 받았다.

국채 수익률은 뛰었고, 주식 시장은 하락세가 강화됐다.

중국 인공지능(AI) 스타트업 딥시크 충격이 가시지 않아 혼조세로 출발한 뉴욕 증시 3대 지수는 연준 FOMC 회의 결과 발표 뒤 하락세로 확실하게 방향을 굳혔다.

오르내림을 반복하던 다우존스산업평균이 하락하며 3대 지수가 모두 내렸다.

다우는 FOMC 뒤 207.15 p(0.46%) 하락한 4만4643.20으로 떨어졌다.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500은 47.53 p(0.78%) 내린 6020.17, 나스닥은 214.79 p(1.09%) 밀린 1만9518.80으로 미끄러졌다.

낙폭은 시간이 갈수록 확대되고 있다.

‘월가 공포지수’ 시카고옵션거래소(CBOE) 변동성지수(VIX)는 0.97 p(5.91%) 급등한 17.38로 치솟았다.

국채 수익률은 뛰었다.

기준물인 10년 만기 미 국채 수익률은 0.032% p 뛴 4.581%로 올랐다.

시장의 연준 금리 전망에 흐름이 좌우되는 2년 만기 수익률은 0.046% p 급등한 4.251%를 기록했다.

dympna@fnnews.com 송경재 기자

Copyrightⓒ 파이낸셜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