온라인서 논란일자 항공사 직원들 “승무원 지시 따라달라”
“승객이 임의로 비상구 열었다간 엔진 빨려 들어갈 수도”
에어부산 "승무원 협조 요청으로 승객이 비상구 열어" 해명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에어부산 항공기 화재 사고에서 승객이 직접 비상 탈출문을 열고 탈출한 것을 두고 승무원의 대처가 미흡했다는 지적이 일자 항공사 직원들이 억울함을 호소했다.
29일 부산소방재난본부에 따르면 전일(28일) 밤 10시 26분께 에어부산 BX391편에 탑승해 이륙을 준비 중이던 승무원은 기내 뒤편 주방에서 대기 중 닫혀있던 오버헤드빈(머리 위 선반) 내부에서 연기와 불꽃이 나는 것을 목격해 관제탑에 상황을 보고했다. 당시 승무원들이 소화기로 불을 끄려고 했으나 연기가 거세지면서 진화에 실패한 것으로 전해진다.
이와 관련 비상탈출을 위한 안내가 제대로 이뤄지지 않아 기내가 아수라장이 됐고, 승객들이 직접 문을 열고 탈출했다는 일부 탑승객의 증언이 나오자 에어부산이 직접 해명에 나서기도 했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온라인에서는 사고기 승무원들의 대처가 적절했는지를 두고 갑론을박이 벌어지고 있다. 다만 회사 이메일을 인증해야 글을 쓸 수 있는 직장인 커뮤니티 '블라인드'에는 억울함을 내비치는 항공사 직원들의 글이 쏟아졌다. 비록 승무원의 대처에 일부 미흡함이 있었더라도, 비상 상황에서 승객들이 임의로 탈출하는 것은 매우 위험하며, 승무원들의 지시를 반드시 따라야 한다는 게 이들의 공통된 의견이다.
에어부산의 또다른 직원 B씨도 비상문을 열었을 때 일어났을 수 있는 여러 가지 사고 가능성을 나열하며 "제발 마음대로 행동하고 영웅인 척 인터뷰하지 말아달라. 더 큰 사고가 날 수도 있었다"고 지적했다.
일각에서는 세월호 사태 때 ‘가만히 있으라’는 선내 안내방송을 따랐다가 많은 인명 피해가 발생했던 기억 때문에 비상 상황시 임의 대처를 하게 만든다는 지적도 나온다.
이와 관련 대한항공의 직원 C씨는 “세월호는 가만히 있으라고 하고 선장이 먼저 탈출했지만, 우리(항공기 승무원)는 제일 마지막에 나가는 것이 매뉴얼이고 당연하다고 생각하기 때문에 제발 승무원의 지시에 따라달라”며 “승객 입장에서는 답답할 수 있겠지만, 다 내 목숨 걸고 승객들 살리기 위해 매뉴얼에 기반해서 움직이고 있는 것”이라고 했다.
안경진 의료전문기자 realglasses@sedaily.com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