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 더불어민주당 이재명 대표와 의원들이 24일 오전 서울 서초구 고속버스터미널에서 설 귀성 인사를 하고 있다.
더불어민주당 비명(비이재명)계가 최근 이재명 대표 체제를 연일 비판하면서 당내 계파 갈등이 수면 위로 올라오는 모습입니다.
윤석열 대통령 탄핵 국면에서도 당 지지율이 여당에 따라 잡힌 상황에서 비명계가 목소리를 키우고 있는 겁니다.
비명계 중에서도 옛 친문(친문재인) 인사들이 이 대표 비판에 경쟁적으로 나섰습니다.
김 전 총리는 "다수당인 민주당이 국정 운영에 책임을 보여야 한다는 기대가 있었는데 강공 일변도의 태도에 대한 국민적 피로감이 있는 것 같다"고 말했습니다.
문재인 정부 청와대 출신인 임종석 전 대통령비서실장은 오늘 페이스북에서 "이 대표 혼자 모든 걸 다 잘할 수는 없다"며 "이제 한 손은 탄핵을 마무리하는 일을 하고, 다른 한 손은 국민 삶을 회복하는 일을 해야 한다"고 강조했습니다.
비명계의 이 같은 주장은 결국 이 대표를 중심으로 한 친명(친이재명)계가 당을 틀어쥐고 당내 다양성을 저해한다는 인식에서 비롯된 것으로 보입니다.
현재의 당내 권력 구도에서는 조기 대선이 성사될 경우 대선후보 경선에서 '이재명 대세론'을 꺾기 어렵고, 이 대표로는 정권 교체에 성공하기 어려운 것 아니냐는 인식도 자리 잡고 있는 것으로 풀이됩니다.
김두관 전 의원도 페이스북에서 "주권자인 국민과 당원에게 다양한 선택권을 줘야 한다"며 "정권교체로 가는 길은 이재명의 길뿐만 아니라 다양한 길이 있다"고 주장했습니다.
이 대표는 어제 기자회견에서 "(당이) 일극 체제라고 할지, 안정적으로 유지되고 있다고 할지는 보는 입장에 따라 다르다"며 동의하기 어렵다는 뜻을 에둘러 비친 바 있습니다.
당내 파열음을 안고 가는 것은 부담스러운 상황에서 이 대표도 통합 행보가 필요하다는 압박에서 벗어날 수 없어 보입니다.
(사진=연합뉴스)
박하정 기자 parkhj@sbs.co.kr
▶ 네이버에서 S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가장 확실한 SBS 제보 [클릭!]
* 제보하기: sbs8news@sbs.co.kr / 02-2113-6000 / 카카오톡 @SBS제보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