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이슈 '미중 무역' 갈등과 협상

트럼프·시진핑 통화…“이견 있어도 해결 방법 찾아야”

0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2019년 6월29일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왼쪽)이 일본 오사카에서 열린 G20 정상회담 부대회의 중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을 만났다. AP 연합뉴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당선인과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이 트럼프 당선인의 취임(20일)을 앞두고 17일(미국 현지시각) 전화 통화를 하고 통상 문제를 비롯한 현안에 대해 논의했다.



트럼프 당선인은 이날 자신의 에스엔에스(SNS)를 통해 “시 주석과 방금 통화를 했다”며 “이번 통화는 중국과 미국에 모두 좋은 통화였다”고 말했다. 또 “나는 우리가 많은 문제를 해결하길 기대하며 이런 일은 즉시 시작되길 바란다”며 “우리는 무역, 펜타닐, 틱톡과 다른 많은 주제에 대해 논의했다”고 밝혔다. 이어 “시 주석과 나는 세계를 더 평화롭고 안전하게 만들기 위해 가능한 모든 일을 할 것”이라고 밝혔다.



시 주석은 트럼프 당선인의 재선을 축하했다. 시 주석은 “트럼프 당선인이 미국 대통령에 재선된 것을 축하한다”며 “우리는 모두 서로의 상호작용을 고도로 중시하고, 중미 관계가 미국 대통령 새 임기에서 좋은 출발을 하길 희망한다”고 말했다고 중국중앙텔레비전(CCTV)이 보도했다. 이어 “중미 관계가 새로운 출발점에서 더 큰 진전을 얻도록 추동할 용의가 있다”고 밝혔다.



또 “중·미 두 위대한 국가는 각자의 꿈을 추구하고 있고, 인민이 더 아름다운 삶을 살도록 힘쓰고 있다”며 “중·미 양국 간에는 광범한 공동이익과 드넓은 협력 공간이 있어 파트너, 친구가 될 수 있고, 상호 성취와 공동 번영으로 양국과 세계를 이롭게 할 수 있다”고 말했다.



트럼프 당선인은 1기 집권기에 중국에 고율관세를 매겼지만, 무역 불균형이 개선되지 않았다는 이유로 중국에 60% 고율 관세를 매기겠다고 공약했다. 트럼프 당선인이 원료가 중국에서 생산된다며 고율 관세를 매기를 명분으로 삼아왔다.



시 주석은 대만에 대해서도 언급했다. 그는 “사정이 다른 두 강대국으로서, 중·미 간에는 일부 이견이 생기는 것을 피하기 어렵다. 핵심은 서로의 핵심이익과 중대 우려를 존중하는 것이고, 적절한 문제 해결 방법을 찾는 것”이라며 “대만 문제는 중국 국가 주권과 영토 완전성에 관계된 일로 미국이 신중히 처리하기를 희망한다”며 “중미 경제·무역 관계의 본질은 호혜·윈윈으로, 대결과 충돌이 우리의 선택이어선 안 된다”고 강조했다.



트럼프 당선인은 “시 주석과의 위대한 관계를 매우 소중히 생각한다. 계속 대화와 소통을 유지하기를 희망하고, 되도록 빨리 시 주석과 만나기를 기대한다”며 “미·중은 현재 세계에서 가장 중요한 국가로 항구적 우호를 유지하면서 함께 세계 평화를 수호해야 한다고 화답했다”고 중국중앙텔레비전이 보도했다.



트럼프 당선인이 지난해 11·5 대선에서 승리한 뒤 시 주석과 통화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트럼프 당선인은 시 주석을 취임식에 초대했으나 시 주석은 참석하지 않는 대신 중국은 한정 국가 부주석을 시 주석 특사로 파견키로 했다.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의 취임 때 중국은 따로 특사를 보내지 않았다. 트럼프 당선인은 시 주석에 대해 지난달 기자회견에서 “(시 주석은) 내 친구였고, 놀라운 사람”이라고 말하는 등 개인적인 호감을 표현하기도 했다.



채윤태 기자 chai@hani.co.kr



▶▶한겨레는 함께 민주주의를 지키겠습니다 [한겨레후원]

▶▶실시간 뉴스, ‘한겨레 텔레그램 뉴스봇’과 함께!

▶▶한겨레 뉴스레터 모아보기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