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과 영국, 일본까지 '돈 값' 즉 금리가 치솟자 대다수의 투자자들이 트럼프 2기의 정책 기조를 원인으로 지목한다. 대규모 관세와 세금 인하, 반이민, 여기에 국경 강화까지 주요 정책이 인플레이션 상승을 부추기고, 이 때문에 연방준비제도(Fed)의 금리인하 사이클이 조기 종료될 상황이라는 얘기다.
흥미로운 사실은 연준이 2024년 9월 이른바 '빅 컷(big cut, 50bp 금리인하)'를 시작으로 100bp(1bp=0.01%포인트)의 금리 인하를 단행한 사이 미국 벤치마크 10년물 국채 수익률은 오히려 100bp 이상 뛰었다는 점이다.
미국 10년물 국채 수익률(좌)과 연준 기준금리 결정(우) [자료=블룸버그]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이른바 '트럼프 리스크'와 국채시장의 기간 프리미엄을 포함한 이유가 제시되지만 근본적인 해답이라고 보기에는 만족스럽지 않다.
◆ 지구촌 과잉 저축의 소멸 = 지금부터 20년 전인 2005년 벤 버냉키 당시 미국 연준 의장은 지구촌의 과잉 저축을 둘러싼 논쟁에 불을 당겼다.
버냉키 전 의장의 주장은 별도의 데이터를 통해 사실로 확인됐다. 하노버 프로바이던트의 로버트 더거 대표와 로버트 바스키 시카고 연방준비은행 이코노미스트를 중심으로 한 보고서에 따르면 글로벌 순저축액이 190년 1조4000억달러에서 2000년 3조달러로 두 배 뛰었고, 2011년 9조2000억달러로 치솟았다.
순저축액은 2012년 7조1000억달러로 떨어졌고, 이후 2019년 8조8000억달러 선으로 늘어났다가 2020년 다시 7조3000억달러로 감소했지만 이에 따른 충격은 제한적이었다.
지구촌 순저축액 추이 [자료=세계은행, 하노버 프로바이던트, 블룸버그]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2007~2008년 금융위기에 대응하기 위해 연준이 제로 금리 정책을 강행했고, 2020년에는 신종 코로나바이러스(코로나19) 팬데믹 사태로 인한 침체에 맞서기 위해 주요국들이 재정 및 통화완화에 뛰어들었기 때문.
2000년대 중반 지구촌의 과잉 저축이 급증한 데 대해 석학들은 아시아 외환위기 이후 신흥국들이 외환보유액을 확대한 데다 경상수지 흑자국들의 순저축이 1조2000억달러로 늘어난 데서 이유를 찾는다.
GDP 대비 과잉 저축이 정점을 찍었던 2008년 경상수지 흑자국의 순저축 규모는 1조9000억달러까지 늘어났다. 수출을 앞세워 두 자릿수의 성장을 지속했던 중국과 산유국의 경상수지 흑자가 큰 폭으로 뛰었다.
다수의 데이터와 보고서를 종합해 보면 지구촌의 과잉 저축은 2008년 미국 금융위기를 전후로 정점을 찍었고, 이후 추세적인 감소를 나타내고 있다.
이 같은 구조적 변화는 중국의 경제 구조 전환과 지구촌의 교역 증가폭 둔화 및 탈세계화, 선진국의 통화정책 정상화와 에너지 시장의 판도 변화 등이 맞물린 결과로 풀이된다.
돈의 값으로 통하는 금리가 상승한 데는 트럼프 2기의 정책 리스크와 재정적자 확대 등 다양한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하고 있지만 보다 근본적으로 돈의 수급 논리가 자리잡고 있다는 지적이다.
◆ 값싼 유동성의 시대 종료 = 그렇다면 지구촌의 과잉 저축이 다시 늘어나 장기 저금리 추세로 복귀할 가능성은 없을까.
마리오 드라기 전 유럽중앙은행(ECB) 총재는 지난 2024년 2월 한 연설에서 저금리 시대의 종료를 예고했다.
미국 실질금리 추이 [자료=블룸버그]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지정학적 리스크가 날로 고조되고, 미국을 필두로 자국 우선주의 정책과 무역 장벽이 곳곳에서 생겨나고 있어 글로벌 과잉 저축을 축소시킨다는 주장이었다.
때문에 세계화를 근간으로 했던 주요국 전반의 저금리 기조가 다시 전개되기는 어렵고, 고금리 시대를 준비해야 한다고 그는 강조했다.
월가의 이코노미스트는 무엇보다 중국의 과잉 저축 공급을 더 이상 기대하기 어렵다고 지적한다. 교역과 IT 패권을 중심으로 미국의 압박에 시달리는 상황에 과거와 같은 경상수지 흑자 달성이 여의치 않다는 얘기다.
국제통화기금(IMF)은 경상수지 흑자 감소로 인해 중국의 GDP 대비 저축액이 2022년 45.7%에서 2028년 44%로 떨어지는 시나리오를 제시한 바 있다.
미국이 대규모 재정적자와 국가 부채를 떠안고도 국가 부도 위기를 맞지 않은 데는 달러화가 기축통화라는 사실 이외에 과잉 저축과 이에 따른 저금리 기조가 안전판을 제공했기 때문이었다.
각국 중앙은행이 채권시장 개입에서 발을 빼는 가운데 과잉 저축의 축소에 따른 파장은 이미 짚에서 확인되고 있다. 수 년간 이른바 '서브 제로' 영역에 머물렀던 미국 실질 금리가 2021년 하반기 0% 선을 뚫고 올랐고, 2023년에는 2.5%까지 치솟았다.
매크로 인텔리전스 2 파트너스의 줄리안 브리젠 공동 창업자는 블룸버그와 인터뷰에서 "실질금리와 미 국채의 기간 프리미엄 상승은 글로벌 과잉 저축이 가파르게 떨어진 데 따른 결과"라고 전했다.
2023년 경험했던 것처럼 기간 프리미엄 상승은 장기물을 중심으로 국채 수익률을 끌어올리고, 이는 주식을 포함한 자산시장에 커다란 충격을 가할 수 있어 월가가 신경을 곤두세운다. 아울러 미국의 국채 이자 부담을 높여 재정 악화를 초래할 수 있다는 경고다.
◆ 미국 10년물 2050년에는 8% = 금리 상승이 자산시장을 강타한 가운데 시장 전문가들은 '더 오래 더 높은(higher for longer)' 금리를 예고한다. 시장금리가 2007년 미국 금융위기 이전 수준으로 복귀하는 수순이라는 진단이다.
월가 [사진=블룸버그]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T. 로우 프라이스가 2025년 1분기 미국 10년물 국채 수익률의 5% 돌파와 6%까지 추가 상승을 전망했고, 비안코 리서치 역시 10년물 수익률이 5%까지 오를 수 있다고 내다봤다.
보다 장기적인 금리 상승에 무게를 둔 의견도 나왔다. 브리젠 매크로 인텔리전스 2 파트너스 창업자는 2050년 미국 10년물 국채 수익률이 8%까지 상승할 것으로 예상했다.
월가는 고금리에 익숙해져야 할 때라고 입을 모은다. 최근 시장 금리 상승이 중앙은행의 매파 정책보다 거대한 구조적 변혁에서 비롯된 결과라는 얘기다.
로버트 더거 하노버 프로바이던트 창업자는 보고서에서 "연준이 인플레이션 리스크 없이 미국 기준금리를 주요국보다 낮은 수준으로 내리기는 어려울 것"이라며 "말 그대로 더 높은 금리가 더 오래 유지될 것"이라고 말했다.
shhwang@newspim.com
저작권자(c) 글로벌리더의 지름길 종합뉴스통신사 뉴스핌(Newspim),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