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 평택 고덕산업단지 내 삼성전자 반도체 공장. 사진 평택시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올해 세계 각국이 반도체 생산공장(fab·팹) 건설에 적극적으로 나서면서 반도체 패권을 둘러싼 경쟁이 한층 격화될 전망이다. 특히 반도체 주권 확보를 위해 외국 기업의 생산 거점을 자국에 유치하려는 쟁탈전이 치열하다. 반면 한국은 올해 계획된 반도체 팹 건설 건수가 단 한 건에 불과해 글로벌 경쟁에서 뒤처지는 것 아니냐는 우려가 나온다.
━
“올해도 반도체 시장 확장”… 반도체 주권 확보 경쟁 치열
세계 파운드리(반도체 수탁생산) 1위 업체인 대만 TSMC의 일본 규슈 구마모토현 제1공장의 모습. TSMC의 자회사로 공장 운영을 맡은 JASM의 간판이 공장 앞에 세워져있다. 연합뉴스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국제반도체장비재료협회(SEMI)는 올해도 반도체의 수요가 크게 증가할 것으로 전망하면서, 전 세계 총 18개의 신규 반도체 팹 건설 프로젝트가 시작될 것이라고 지난 7일 밝혔다. SEMI는 파운드리(반도체 위탁 생산) 부문의 반도체 생산 능력(WPM·Wafer per month)이 올해 월 1260만장으로, 지난해보다 10.9% 증가할 것으로 내다봤다.
이에 발맞춰 각국에선 이미 반도체 팹을 확보하기 위한 경쟁이 시작됐다. 아짓 마노차 SEMI CEO는 “2025년부터 시작될 18개의 새로운 반도체 팹 건설은 기술 혁신과 경제 성장을 동시에 이루겠다는 의지를 반영한 것이다”고 말했다. 다만 국가별로 격차는 큰 것으로 나타났다.
━
반도체 팹 건설 붐…한국은 1곳 그쳐
김영희 디자이너 |
미국과 일본은 올해 각 4개의 반도체 팹 건설이 예정됐다. 미국은 자국에 반도체 생산 거점을 유치하기 위한 막대한 규모의 투자를 진행해왔다. 이에 따라 인텔과 마이크론과 같은 자국 기업을 물론이고 대만의 TSMC와 삼성전자 등도 미국 내 공장 건설에 뛰어들고 있다.
━
“‘생산의 한국’은 옛말, 정부 지원 절실”
정부와 경기도, 용인시, SK하이닉스가 공동으로 약 1조원을 투자하는 첨단반도체 테스트베드(미니팹) 구축 사업이 올해 본격 시작된다. 연합뉴스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이에 따라 국가 차원의 반도체 주권 확보 노력이 시급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반도체가 경제·안보를 모두 좌우할 핵심 산업으로 떠오르면서 세계 각국이 자국 내 팹 건설과 공급망 확보에 나섰는데, 한국은 정책적 대응이 부족하다는 것이다.
일례로 SK하이닉스는 120조원을 투자해 용인 반도체 클러스터 조성에 뛰어들었지만, 전력과 용수(用水) 문제로 관련 사업이 3년이나 지연됐다. 김대종 세종대 경영학과 교수는 “그간 반도체 업계가 유지해 온 ‘원천기술은 미국, 부품은 일본, 생산은 한국과 대만’이라는 균형이 깨지고 있다”면서 “미국과 일본이 생산 경쟁에 뛰어든 만큼, 한국도 기존의 생산 주도권과 강점을 잃지 않도록 정부의 전폭적인 지원이 절실하다”고 말했다.
이가람 기자 lee.garam1@joongang.co.kr
▶ 넌 뉴스를 찾아봐? 난 뉴스가 찾아와!
ⓒ중앙일보(https://www.joongang.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