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1.10 (금)

이슈 세계 금리 흐름

[투자의 창] 한국은행의 금리 인하 가능성을 높게 보는 이유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 정용택 IBK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수석연구위원(상무)

서울경제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경제 외적인 혼란으로 금융시장 변동성이 커지며 불안이 퍼지고 있다. 최근 가파른 원·달러 환율 상승과 국내 증시 급락을 지난달 비상계엄 사태와 연관 짓는 시각이 있지만 본질은 점점 더 뚜렷해지고 있는 경기 기초체력(펀더멘탈)의 둔화에 있다. 지난달 수출 지표가 시장 기대보다 양호하긴 했으나 높은 반도체 의존도나 수출 기업경기실사지수(BSI) 급락, 통상 압박과 마주하고 있는 현실 등을 감안할 때 투자자들에게 큰 위안이 되기에는 부족해 보인다. 지난해 내내 수출을 따라오지 못했던 생산 활동이나 내수 소비 부진 문제도 여전하다.

연이은 경제지표 부진은 최근 발생한 경제 외적인 변수와 맞물려 경제정책 변화를 압박하는 요인으로 작동한다. 현재 경제 상황과 전망을 종합적으로 고려했을 때 이번 달 16일 한국은행이 금융통화위원회에서 기준금리를 인하할 가능성은 크다고 판단한다.

기준 금리가 내려갈 가능성이 크다고 본 이유는 첫째 국내 경제 성장이 한은의 예상보다 부진하게 나타날 것으로 보이기 때문이다. 경제 성장률은 통상 산업활동 동향을 토대로 추정할 수 있다. 지난해 11월 산업생산을 통해 구해본 지난해 4분기 경제성장률은 전년 동기 대비 1%대 초반까지 하락한 것으로 추산한다. 이는 한은이 제시한 지난해 4분기 성장률 1.7%뿐만 아니라 지난해 3분기 1.5%보다도 낮은 수준이다. 지난달 수출이 반등한 것을 감안하면 산업생산 역시 그 전달인 지난해 11월보다는 반등할 가능성이 크다. 하지만 누적되는 실망감이 반영된 심리 지표 악화와 지난달 비상계엄 사태를 감안하면 성장률 추정치 반등 폭은 그리 크지 않을 것으로 예상한다.

두 번째 이유는 국내 기업들의 이익 창출력이 가파르게 둔화하고 있다는 사실이다. 일반적으로 산업활동동향 통계 중 경기동행지수에서 경기후행지수를 차감하는 방식으로 기업이익 창출 변화를 추적한다. 해당 지표는 우리나라 기업의 이익 창출력이 지난해 3·4분기 연속으로 후퇴하고 있음을 나타내고 있다. 비용을 의미하는 후행지수가 지난해보다 둔화하고 있는 와중에 매출을 의미하는 동행지표가 더 부진함을 보이고 있다. 이는 최근 불안이 가중되고 있는 신용위험에 대한 우려와 연결된다. 특히 이달 금통위가 가계 자금 수요가 많은 설 연휴 전에 열린다는 점이나 1분기 회사채 만기 규모가 역대 최대 규모인 26조 6000억 원 수준이라는 점 등을 감안하면 신용 상황을 고려한 정책 결정 가능성이 커 보인다.

마지막으로 우리나라와 미국 경제가 선명한 대비를 보이고 있다는 점도 기준 금리 인하 압박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미국 GDP 나우에 따르면 미국의 지난해 4분기 성장률 기대치는 다시 3% 전후에 형성되며 쉽게 꺾이지 않고 있다. 매출(동행지수)과 함께 기업이익 모멘텀도 개선 추세를 유지하고 있다. 지난달 미국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에서 나타난 연방준비제도(Fed·연준)의 금리 인하 속도 조절이 기대보다 좋은 미국 경제지표에 기인한다면 전망치를 하회하는 경제지표를 받아 든 한은은 기존보다 금리 인하 기울기를 가파르게 가져갈 필요가 있다는 판단이다. 환율에 대한 우려가 있지만 지금 환율이 극명하게 대비되는 펀더멘탈 흐름의 차이에 기인한다는 점은 금리를 통한 일시적인 대응보다는 보다 본질적인 경기에 대한 대응이 필요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정훈 기자 enough@sedaily.com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