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1.08 (수)

“저축은행 금리 겨우 3%?” 예금보호 한도 1억으로 올라도 잠잠한 머니무브 [머니뭐니]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저축銀 정기예금 금리 3.3%로 내림세
가계 대출 고삐 죄고 건전성 관리 ‘최우선’
시중銀과 미미한 금리 차이에 고객 이동 미미
헤럴드경제

최근 저축은행과 시중은행 간 정기 예금 금리가 차이가 나지 않자 금리 경쟁에 따른 머니무브가 약해지는 모습이다. [챗GPT를 이용해 제작함]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헤럴드경제=유혜림 기자] 올해 금융회사당 5000만원인 예금자보호한도가 1억원으로 높아지지만 저축은행권은 정책 특수 기대감이 사라진 분위기다. 그간 금융권에선 시중은행보다 높은 이자를 주는 저축은행으로 ‘머니무브’가 나타날 것이란 분석이 많았는데, 올해 저축은행이 가계 대출에 건전성 관리까지 고삐를 죄면서 고금리 상품이 자취를 감추고 있기 때문이다. 이에 저축은행의 정기예금 평균 금리도 3% 초반대까지 내려오면서 시중은행과 금리 차이가 거의 없어진 상태다.

7일 저축은행중앙회 소비자포털 공시에 따르면, 이날 기준 전국 79개 저축은행의 12개월 만기 정기예금 평균 금리는 3.31%로 집계됐다. 2023년 연초 5.3%를 웃돌던 저축은행권의 평균 금리는 금리 인하 기조에 따라 내리면서 현재 2%포인트 가량 떨어진 상태다. 최고 금리 상품도 전년 4.3%에서 올해 3.5%까지 내려왔다. 연말연시 흔하게 보이던 ‘고금리 특판’도 자취를 감췄다.

이는 시중은행과도 거의 차이가 나지 않는 수준이다. 같은 날 5대 시중은행(KB국민·신한·하나·우리·NH농협)의 12개월 만기 정기 예금 금리는 연 최고 3.0~3.3% 수준이다. 2022년 말 한 때 저축은행(연 5.53%)과 시중은행(연 4.08%) 간 금리 차는 1.45%포인트 수준까지 벌어지기도 했다. 하지만 지난해 하반기 들어 저축은행의 예금 금리가 시중은행보다 빠르게 떨어지면서 현재는 시중은행 금리를 살짝 웃도는 수준에 그친다.

이렇다 보니 금융권에선 저축은행으로의 머니무브가 예상보다 약할 수 있다는 전망이 나온다. 올해 예금자 보호 한도를 5000만원에서 1억원으로 높이면서, 새로 예금자 보호 대상이 되는 돈이 상대적으로 금리가 높은 저축은행으로 몰려갈 것이라는 분석이 많았다. 하지만 시중은행과 저축은행 간 금리 차이가 그리 크지 않아 금융 소비자들 입장에서도 옮길 이유가 딱히 없다는 것이다.

이처럼 저축은행의 예금이 낮아진 이유로는 가계 대출과 건전성 관리가 꼽힌다. 저축은행이 주로 대출을 내주는 부동산 시장 침체가 길어진 데다 꾸준히 올라가는 연체율도 부담 요인다. 한국은행에 따르면, 저축은행을 포함한 비은행 기관에서 빌린 대출금의 3분기 연체율은 2.12%에서 2.18%로 0.06%포인트 상승했다. 이는 2015년 3분기(2.33%) 이후 9년 만에 가장 높은 수준이다.

저축은행 관계자는 “부동산 경기 회복에 가계 대출도 되살아나야 수익원도 확보하면서 예금 금리를 높일 수 있는데, 현재 시장 상황은 여의치 않은 상황”이라고 했다.

여기에 건전성 관리도 최대 과제다. 최근 안국과 라온 등 저축은행 두 곳이 금융당국으로부터 6개월 경영개선권고 조치를 받았다. 경기 부진과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대출 부실 영향으로 저축은행의 건전성이 악화한 영향이 컸다. 새해 저축은행들은 PF 사업장 정리에 나서면서 경·공매에도 속도를 낼 방침이다.

일각에선 저축은행이 정책 수혜를 누리지 못하면서 시중은행 간 WM(자산관리) 서비스 경쟁이 더 치열해질 수 있다는 관측도 제기한다. 한 시중은행 PB 센터장은 “지금과 같이 금리가 차이가 나지 않을 땐 굳이 번거롭게 은행을 옮기려고 하지 않을 것”이라며 “특히 예금으로 5000만원씩 나눠 옮길 정도의 고액 자산가라면 0.1%포인트의 이자에 민감하게 반응하기보다 차라리 WM 서비스를 얼마나 더 세심하게 받을 수 있을지를 살필 것 같다”고 말했다.

헤럴드경제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