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산 저가 EV 쾌속질주
中정부 보조금 지원으로 가격경쟁력
기술 수준도 '대륙의 실력' 자리매김
반격카드 절실한 일본車
'규모의 경제' 실현 위한 선택지 합병
독자기술 자부심 강한 혼다·닛산
폐쇄적 기업문화 극복해야 시너지
중국 공세에 태국·인니 점유율 후퇴
업계 "동남아 시장 지켜낼 지 미지수"
우치다 마코토일본 닛산자동차 사장(왼쪽)과 미베 도시히로 혼다 사장이 지난해 8월 1일 일본 도쿄에서 열린 공동 기자회견에서 악수를 하고 있다. 뉴시스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파이낸셜뉴스 도쿄=김경민 특파원】 일본 자동차 공룡인 혼다와 닛산자동차가 전격적으로 경영 통합 협의를 시작했다. 자동차 산업의 경쟁축이 100년 넘게 지배해온 내연기관 기술에서 전기차(EV)·인공지능(AI), 자율주행으로 급속히 이동하면서 생존을 위해 결단한 것이다. 한때 무적이라 불리던 일본차 브랜드가 중국 신생 EV 업체들의 저가 전략에 밀리고, 동남아시아 시장마저 흔들리는 상황은 이 같은 패러다임 전환이 빠른 속도로 진행되고 있음을 보여준다.
■혼다·닛산, 왜 통합을 택했나
5일 현지 언론 등에 따르면 중국에서 일본 자동차 브랜드 위상 하락은 상징적인 사례로 자주 언급된다. 혼다와 닛산, 도요타를 비롯한 일본 업체들은 2020년대 초반까지만 해도 중국 시장 확대를 자신해왔다.
그러나 실제로는 판매 부진, 시장 점유율 급감 등 위기감이 커지면서 닛산은 지난해 6월, 몇 년 전(2020년)에 완공한 장쑤성 합작 공장을 전격 폐쇄했다. 합작 파트너인 동풍자동차그룹의 강한 반대에도 닛산이 1년 넘게 협상을 주도해 결국 문을 닫은 것으로 알려졌다.
이 공장은 닛산의 중국 현지 생산 거점 중 하나로 이로 인해 닛산이 보유하던 총 150만대 규모 생산 역량은 약 10%가량 줄어들었다. 동시에 닛산 측은 "글로벌 생산 능력을 20% 축소하겠다"고 발표해 전 세계적 구조조정을 예고했다.
중국과 동남아시아에서 일본차의 아성이 무너지고 있는 이유는 크게 두 가지로 요약된다.
우선 EV 가격 경쟁력이 급격히 높아진 중국 신생 업체들의 돌풍이다. 또 AI 자율주행 기술 확보 경쟁에서 테슬라 등 미국계 신흥 기업과 중국업체들과 격차가 빠르게 벌어지고 있다는 점이다.
중국 EV 업체들은 정부의 보조금 지원책과 대량생산의 규모 경제를 무기로 유럽·미국 제품 가격의 절반 수준(평균 약 3만달러)에 EV를 공급한다. 게다가 차량 제조 원가에서 약 30%를 차지하는 배터리 가격이 중국에서는 서구 대비 40%가량 저렴하다. 그 결과 BYD를 비롯한 중국 EV 브랜드들은 2020년대 초반을 기점으로 전 세계 시장의 판도를 바꾸고 있다.
여기에 더해 중국·미국발 기술 혁신은 단순한 '내연기관 대 EV' 구도로 설명하기 어려운 수준에 이르렀다. 테슬라의 일론 머스크 최고경영자(CEO)는 "자율주행을 통해 차량 가치가 5~10배로 뛸 것"이라며 무인 택시(사이버캡) 시범 서비스를 선보였다. 중국에서도 샤오펑 같은 신생 EV 업체가 AI 기반의 자율주행을 전면에 내세우며 공격적인 마케팅에 나서고 있다.
기술 격차와 저가 공세에 버티며 혁신을 도모하기 위해선 몸집을 키워야 한다는 게 혼다와 닛산의 전략으로 보인다.
혼다는 이번 경영 통합에 대해 "배터리나 모터 같은 장치 산업은 규모가 커질수록 원가를 낮출 수 있다"며 "규모의 경쟁을 위해선 협력이 필수"라고 설명했다. 닛산 역시 전기차 시대에 맞춘 전면적인 구조 재편을 위한 대형 파트너가 필요했고 이 과정에서 '일본 브랜드끼리라도 손을 잡아야 한다'는 절박한 결론에 이른 것으로 해석된다.
■일본차 '자존심' 내려놓을까
다만 혼다·닛산의 통합이 곧바로 시너지를 낼 수 있을지는 미지수다. 일본 자동차 산업은 내연기관 전성기 시절부터 독자기술에 대한 자부심, 이른바 '자사주의'가 강하기로 유명하다. 기업마다 고유의 엔진 개발 철학과 부품 생산 체계를 고수하는 관행이 오랜 세월 뿌리박혀 있어 합작회사의 장점을 살리기보다 이해관계 충돌과 내부 갈등으로 이어진 사례도 적잖다.
하지만 세계 자동차 시장은 이미 소프트웨어 중심의 생태계 전쟁으로 급변하고 있다. 중국 업체들은 단순히 하드웨어(차체, 배터리) 비용 절감에 그치지 않고, 화웨이, 바이두 등 대형 테크 기업과 연계해 자율주행 솔루션을 개발한다. 미국 역시 구글 웨이모, 테슬라 등이 방대한 주행 데이터를 바탕으로 학습형 AI 기술을 진화시키는 중이다.
이에 비해 일본 자동차 기업들은 아직 소프트웨어나 AI 플랫폼 구축에서 본격적으로 성과를 내지 못했다. 닛산·동풍자동차 합작사인 동풍닛산이 최근 화웨이와 전략적 제휴를 체결했지만 테슬라나 BYD가 이미 자율주행 데이터 축적 측면에서 상당한 우위를 점한 상태라는 것이 업계의 중론이다.
내연기관으로 쌓아 올린 50년의 영광을 뒤로 하고, 외부 자원까지 적극적으로 끌어들여야 한다는 공감대가 일본 자동차 산업 관계자들 사이에서 커지고 있으나 실제로 통합 이후 어떤 기업문화 변화를 꾀할 수 있을지, 서로 이질적이었던 연구개발(R&D) 조직이 얼마나 유연하게 협력할지도 문제다.
니혼게이자이신문은 "최고 경영진의 위기감이 혼다와 닛산의 통합을 결정지었다"며 "그러나 심장부의 엔지니어들 사이에는 독자 기술에 대한 집착이 강하게 남아 있다"고 전했다.
■일본차 '텃밭' 동남아도 중국에 내주나
닛산, 혼다 양사의 통합 소식이 전해지자 동남아 자동차 시장에서도 비상한 관심이 쏟아졌다. 전통적으로 동남아는 일본차의 텃밭으로 불렸지만 최근 들어 태국·인도네시아 시장에서 중국 EV 업체가 공격적으로 영업망을 확대하는 흐름이 포착되고 있기 때문이다.
가장 두드러진 변화는 태국에서 벌어지고 있다. '아시아의 디트로이트'로 불리는 태국 자동차 시장은 일본의 닛산, 혼다, 도요타 등이 오래 전부터 생산·판매 양측을 확고히 장악해왔다. 그런데 불과 최근 2년 만에 일본 브랜드 점유율이 90% 초반에서 70%대로 급락했다. 태국의 한 닛산 딜러 관계자는 "가격 경쟁력과 정부 지원책을 등에 업은 중국 EV가 빠르게 공장 설립 및 현지화에 나서면서 시장 파이가 뒤집히고 있다"면서 "고객만 빼앗기는 게 아니라 직원들도 BYD 등으로 이직을 고민하고 있다. 굴지의 중국계 업체가 전동화 관련 인력을 대규모로 스카우트한다는 소문이 파다하다"고 토로했다.
인도네시아 역시 그동안 일본 브랜드가 90% 전후 점유율을 안정적으로 유지했으나 최근 들어 80%대로 후퇴했다. 계속 하락세가 이어지면 동남아 전역에서 중국 EV에 시장을 내주게 되는 것 아니냐는 우려가 나온다.
중국 대기업들은 동남아 현지 공장을 건설하거나 반조립 형태로 수출하는 방식으로 대량·저가 공세를 펼치고 있다. 한층 더 공격적인 마케팅이 이어질 경우 일본차가 쌓아 올린 브랜드 충성도마저 무너질 수 있다는 지적이다.
이에 맞서 일본 메이커들은 전동화 라인업을 늘리려 하지만, 시장 수요에 즉각 대응하지 못하고 있다. 업계 관계자는 "R&D 역량을 내연기관 차량에서 전기차로 전환하는 일 자체가 간단치 않은 과제"라며 "혼다·닛산이 통합으로 몸집을 키워 규모의 경제를 실현하면 동남아 시장에서 중국계에 대항할 만한 반격 카드가 될 수 있을지는 아직 모르는 일"이라고 말했다.
■車공룡 통합, 일본 경제에도 승부수?
자동차 산업은 일본 국내총생산(GDP)의 약 10%를 차지한다. 관련 종사자만 558만명에 달한다. 전 세계에서도 가장 큰 제조업 생태계 가운데 하나인 일본 자동차 산업이 위기에 처한다면, 그 여파는 일본 경제 전반을 뒤흔들 수 있다. 혼다·닛산의 이번 통합은 단지 두 회사의 문제를 넘어 일본 경제의 분기점이기도 한 것이다.
글로벌 시장에서 일본차가 테슬라와 중국 EV 신생 기업들의 파상공세를 뚫고 10년 뒤에도 유효한 경쟁력을 유지하려면 전례 없는 전략적 선택과 빠른 실행이 필수적이라고 전문가들은 조언한다. 수십년간 쌓아온 생산·공급망을 한순간에 대체하기는 어려운 만큼 양사의 협력관계를 활용해 EV 시대를 선도할 새로운 기술력과 AI 소프트웨어 역량을 신속히 확보해야 한다는 분석이다.
혼다·닛산 양사가 어떤 식으로 조직 통합을 추진하고, 중국·미국 빅테크와 어떤 형태의 제휴를 맺어 소프트웨어 경쟁력을 끌어올릴지도 주목된다. 이 과정에서 일본 내 다른 자동차 업체인 도요타, 마쓰다, 미쓰비시 등이 합종연횡으로 돌파구를 찾을 수 있다. 아울러 부품 산업 전반에 미칠 파장과 동남아 시장뿐 아니라 북미·유럽 시장에서의 영업 전략 변화도 줄줄이 이어질 수 있다.
혼다·닛산 통합은 '엔진 시대 종말'을 목전에 둔 일본차 업계가 던진 승부수인 동시에 AI 시대의 글로벌 자동차 판도를 가늠하게 하는 사례로 기록될 전망이다. 향후 10년, 거대 시장 중국에서 새롭게 부상한 EV 업체들과 AI 자율주행 기술을 선점하려는 미국 테슬라의 공세 속에 일본차가 어떻게 대응할지에 따라 세계 자동차 산업 지도가 재편될 것으로 보인다.
km@fnnews.com
Copyrightⓒ 파이낸셜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