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1.05 (일)

"흙더미인 줄 알았는데"…무안공항 7년 조종사도 몰랐던 콘크리트 둔덕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안내 받은 적 없고 다른 조종사도 모를 것"

"무안공항, 조류 충돌 위험 항상 있어" 증언

전남 무안국제공항에서 자주 비행하는 비행교관·조종사들은 활주로의 방위각시설(로컬라이저) 설치 콘크리트 둔덕 존재를 사전에 인지하지 못했다는 증언이 나왔다. 특히 이들은 무안 공항을 두고 '버드 스트라이크(조류 충돌)' 위험이 항상 있는 공항이라고 입을 모았다. 7년간 무안 공항을 이용했다는 비행교관이자 조종사 A씨는 2일 연합뉴스에 "수년간 이착륙하면서 상공에서 눈으로만 둔덕을 확인했고 당연히 흙더미인 줄 알았지, 콘크리트 재질일 거라고는 상상도 못 했다"고 밝혔다.
아시아경제

무안국제공항에서 탑승객 181명을 태운 제주항공 여객기가 착륙 중 활주로 외벽에 충돌한 뒤 화재가 발생해 승객 대부분이 사망하는 대참사가 발행한 29일 전남 무안국제공항 활주로에 놓인 사고 기체 잔해에서 소방대원들이 실종자를 수색하고 있다. 강진형 기자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이어 그는 "높이 2m에 두께 4m 콘크리트 덩어리라는 것이 공항 차트 등에 적혀있지도 않고, 안내를 따로 받은 적도 없다 보니 다른 조종사들 역시 모르고 있었다"고 말했다. 조종사들은 이번 제주항공 참사의 원인 중 하나로 거론되는 '버드 스트라이크'와 관련해서도 'ATIS(항공 기술 정보시스템)' 기상정보 시스템 등을 통해 새 떼에 항상 신경을 썼다고 전했다.

A씨는 "체감상 1년에 한 번 정도는 날개 부위 등에 조류 충돌 피해가 발생했다"며 "항상 주파수를 통해 기상 상황을 확인하는데 무안 공항은 최근에는 매일 조류 활동 안내가 나왔고, 관제사도 활주로에 새들이 있으면 연락을 줬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작은 새는 소형비행기를 알아서 피해 가는데 독수리나 매 등 큰 새는 겁을 내지 않아 조종사들이 알아서 피한다"며 "사고 항공기의 경우 기체가 크다 보니 조류 충돌에 대처하기 훨씬 힘들었을 것"이라고 추정했다.
"새 떼 충돌 위험 상존, 훈련·교육 몰려 관제 바쁜 공항" 증언
평소 공항에는 국내 비행훈련·교육생들까지 몰려 관제사들도 생각보다 바빴다는 증언도 나왔다. A씨는 "다들 무안 공항이 한적했을 거라 생각하는데 사실은 엄청 바쁘다"며 "국내에 훈련이 가능한 공항이 거의 없어 모든 훈련기관이 거의 다 이곳에서 비행교육을 진행한다"고 말했다.
아시아경제

1일 오후 전남 무안군 무안국제공항 인근에서 새들이 날고 있다. 연합뉴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무안 공항을 이용하는 민간 조종사 B씨 또한 "중원대, 교통대, 초당대, 경운대, 청주대 등등 각 대학 항공학과 등에서도 거의 다 무안 공항을 비행 교육장으로 사용한다"며 "교육생들이나 조종사들이 국적기 기장들과 비교하면 상대적으로 덜 숙련돼 소통이 원활하지 못하다. 관제사들은 더 바빴을 것"이라고 전했다.

앞서 제주항공 사고기는 지난달 29일 오전 8시 57분께 관제탑으로부터 조류 충돌 경고를 받았고, 불과 2분 뒤인 오전 8시 59분께 1차 착륙 시도 중 조류 충돌에 따른 '메이데이'를 선언, 복행을 시도했다. 2차 착륙 시도 중 동체착륙을 하다 방위각시설 설치 콘크리트 둔덕에 부딪혀 폭발·파손했다. 이 사고로 승객 등 179명이 숨지고, 승무원 2명이 다쳤다.

방제일 기자 zeilism@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