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일 오전 전남 무안군 무안국제공항 제주항공 여객기 참사 유가족들이 사고 현장을 찾아 눈물을 흘리고 있다. 연합뉴스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제주항공 참사’ 당시 사고기가 동체 착륙 하는 과정에서 1차 착륙과 정반대로 방향을 바꾼 것에 대해 조종사와 관제사 사이의 상호 합의가 있었다고 정부가 재확인했다. 다만 이 판단 과정에서 조종사와 관제사 누가 먼저 제안한 것인지에 대해서는 불분명하다며 추가 조사가 필요하다고 밝혔다. 구체적인 사실 관계는 사고기 블랙박스 분석 뒤에 드러날 것으로 보인다.
유경수 국토교통부 항공안전정책관은 1일 정부세종청사에서 연 브리핑에서 “조종사가 복행(착륙을 포기하고 재상승하는 것) 시도를 하면서 우측으로 선회를 했고, 그 과정에서 관제사가 뭔가 (기내의) 비정상적인 상황을 알고 있었다”며 “그때 가장 가까운 방향으로 관제사가 안내를 했고, 조종사가 ‘알겠다’고 해서 상호합의가 된 상태에서 내려가며 착륙 시도를 하는 과정이 있었다”고 말했다. 관제사가 먼저 방향 전환을 판단한 뒤 조종사가 이를 따른 것처럼 해석되는 대목이다. 그러나 유 정책관은 “교신은 왔다갔다(관제사와 조종사 간 말이 오고간다는 취지) 하는 것이고 의도와 수신이 원활하지 않은 순간도 있어서 누가 먼저 방향 전환을 판단·제안했다고 단정하기가 곤란하다. 다른 진술과 음성기록장치(CVR) 등의 내용을 종합해서 규명해야 한다”고 부연 설명했다.
방향 전환에 조종사와 관제사 간 상호 합의는 사고 당일에도 정부가 확인한 바 있다. 국토부는 앞서 사고 당일인 지난 12월29일 브리핑에서도 1차 착륙이 완전히 이뤄지지 않은 배경에 대해 “조류 충돌로 조종 어려움이 있지 않았나 추정만 한다”며 “이후 올라가다가 기체 이상이 있기 때문에 (조종사가) 관제탑하고 협의해서 (원래대로라면) 완전히 반대방향으로 돌아가야 하는데 짧은 쪽으로 돌다가 내려왔다”고 설명했다.
실체를 규명할 열쇠인 블랙박스 분석은 속도가 나고 있다. 조종사와 관제사 간 교신 기록이 담겨 있는 음성기록장치(CVR)는 데이터 추출을 마친 뒤 음성 정보 변환 작업이 진행 중이다. 지금까지 파악된 경위는 항공 조사 당국이 사고 뒤 관제사 면담 등을 통해 파악된 것인데 시브이알이 분석되면 상호 검증을 할 수 있다.
주종완 국토부 항공정책실장은 “음성기록장치에 저장된 자료의 추출을 완료했다. 오늘 음성파일 형태로 전환하는 작업에 착수한다”며 “최대한 조속히 음성 추출 작업을 완료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다만 비행자료기록장치(FDR) 분석은 데이터 추출 기기와의 연결 부품이 분실된 탓에 최종 분석에는 시간이 걸릴 예정이다. 당국은 에프디알과 시브이알을 교차 검증 등을 거칠 방침이다.
박수지 기자 suji@hani.co.kr
▶▶실시간 뉴스, ‘한겨레 텔레그램 뉴스봇’과 함께!
▶▶한겨레 뉴스레터 모아보기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