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2007년 미국 포춘지는 샌프란시스코의 유명한 토스카 술집에서 페이팔의 공동 창업자들과 초기 임원들을 모아 마피아 드라마 포스터처럼 연출한 사진을 게재했다. 사진 속 주인공들은 2002년 페이팔을 매각한 후 각기 활발한 투자와 창업을 통해 실리콘밸리의 거물로 커가는 인물들이었다. 포춘지는 피터 틸 팰런티어 창업자, 일론 머스크 테슬라 최고경영자(CEO) 등이 포함된 이들 20여 명을 ‘페이팔 마피아’라고 명명했다.
전 세계의 천재 워커홀릭들이 모이는 실리콘밸리에서는 ‘직연(職緣·직장 인연)’이 중요하다. 포춘지는 최근 “다양한 ‘테크 마피아’가 등장했지만 페이팔이 그들의 대부”라고 평가했다. 실리콘밸리에서 가장 영향력 있는 직연이 바로 페이팔 마피아인 셈이다. 이들은 전화 한 통으로도 서로에게 조언과 자금을 아낌없이 지원하는 끈끈한 유대를 이어왔다. 이런 인맥을 바탕으로 페이스북·유튜브·링크드인·스페이스X·우버 등 혁신적인 기술 기업들이 탄생했다.
혁신 기업가 집단으로 주목받았던 페이팔 마피아가 요즘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 내 역할로 다시 조명받고 있다. 트럼프 대통령 당선인이 새 행정부의 요직에 실리콘밸리 인사들을 적극 기용하면서 페이팔 출신들이 핵심에 포진되고 있는 것이다. 머스크는 정부효율부(DOGE) 수장으로 상당한 영향력을 행사하고 있으며 데이비드 색스 전 페이팔 최고운영책임자(COO)는 AI·가상자산 차르(총책임자)로, 페이팔 공동 창업자 켄 하워리는 덴마크 주재 미국대사로 지명됐다. 틸은 측근인 J D 밴스 부통령 당선인과 보건복지부 장관 지명자 짐 오닐을 트럼프 측에 추천한 것으로 알려졌다.
테크 기업들은 전통적으로 민주당을 지지해왔으나 조 바이든 행정부의 규제 강화 기조에 등을 돌렸다. 미국 테크 기업과 트럼프 새 행정부의 밀착은 규제 완화를 바라는 산업계와 기술 패권을 지키려는 정부의 이해가 일치한 결과다. 글로벌 시장에서 주목받을 만한 한국의 ‘테크 마피아’가 탄생할 날을 앞당기려면 규제 완화와 기술 개발 지원을 더 서둘러야 할 것이다.
이혜진 논설위원 hasim@sedaily.com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