취약 자영업자 대출 연체율 11년만에 최고
서울 시내 한 번화가 임대 상가에 대출 홍보물이 놓여 있다. 권도현 기자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내수 침체가 이어지면서 취약 자영업자의 연체율이 올해 하반기 급증해 11년 만에 가장 높은 수준을 기록했다. 한국은행은 내년에 기준금리를 추가로 인하하면 취약계층의 이자 부담을 낮추는 데 도움이 되겠으나 부동산 대출 쏠림 등 중장기적으로 금융 안정성이 흔들릴 있다고 우려했다.
한국은행이 24일 발표한 올해 하반기 금융안정보고서를 보면, 3분기 말 취약 자영업자(다중채무자이면서 저소득이거나 저신용자)의 대출 연체율은 11.55%로 2013년 3분기(12.02%) 이후 11년 만에 가장 높았다. 이는 역대 최고치(2012년 3분기 13.98%)와도 상당히 가까워진 수준이다.
특히 저소득 자영업 차주는 올해 3분기 말 49만4000명(자영업자의 15.8%)으로 지난해 말 47만9000명(15.3%)보다 1만5000명 늘어났다. 저신용 차주도 23만2000명(7.4%)으로 지난해 말(19만9000명·6.4%)보다 3만2000명 늘었다. 한은은 저소득·저신용 자영업자 차주가 늘어난 건 신규 대출이 증가한 게 아니라 기존 중소득·중신용 이상이었던 자영업자 차주들의 소득과 신용도가 떨어졌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그만큼 자영업자의 주머니 사정이 나빠졌다는 의미다.
전체 자영업자의 대출 연체율도 1.7%로, 2015년 1분기(2.05%) 이후 9년여 만에 최고 수준을 기록했다.
소득계층으로 봐도 저소득층의 부채 의존도가 상당했다. 3분기 고소득층의 소득 대비 부채 비율(LTI)은 237.1%로 3년 전보다 5%포인트 감소했으나, 같은 시기 저소득층의 LTI는 360.3%로 12%포인트 가량 증가했다. 한은은 저소득층의 부채의존도가 고소득층에 비해 크게 늘어 소비 제약이 심화할 수 있다고 우려했다.
한은은 내년 금리인하가 이뤄질 경우 취약 계층의 연체율을 낮추고 금융안정을 개선하는 데는 긍정적인 작용할 것으로 내다봤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과거 금리인하기, 대출규제 완화되면 가계대출 급증
기업대출도 부동산업 대출 늘어날 우려
기업대출도 부동산업 대출 늘어날 우려
한은은 그러나 금리인하 시기 자금 대부분이 부동산으로 몰릴 수 있어 거시건전성 정책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한은은 정부의 하반기 대출 규제 강화로 3분기 말 가계신용(1913조8000억원)이 전년동기 대비 1.9% 증가하는 데 그쳤지만 명목 국내총생산(GDP) 대비 민간신용 비율이 2배를 넘는 수준이라고 우려했다.
한은 분석 결과, 가계대출 금리가 3%로 동일하더라도 대출 규제가 강한 시기엔 1년 사이 가계대출이 약 7% 늘지만 규제가 완화되는 시기엔 약 11%까지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대출 규제가 따르지 않으면 금리인하기에 가계대출이 급증하고 부동산 가격 급등이 재현될 수 있다는 뜻이다.
기업대출도 부동산업 등 생산성이 높지 않은 부문에 늘어난다고 지적했다. 과거 금리 인하기에 부동산업의 대출집중도가 1.77에서 2.46으로 올랐다. 대출 집중도란 업종별 기업대출 잔액 비중을 업종별 GDP 비중으로 나눈 수치다. 부동산업에서 대출 집중도가 1보다 크다는 건 부동산업의 GDP 비중보다 더 많은 대출금이 부동산업으로 유입되고 있다는 의미다.
한은은 금리인하기엔 위험선호 성향이 강해지면서 해외 주식투자와 가상자산 투자에도 자금이 몰릴 수 있어 모니터링 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한은은 “저소득·저신용 자영업자 차주가 증가한 점에 유의해 자영업자 차주의 채무 상환능력을 점검하고 (정부가) 선별적으로 대응할 필요가 있다”면서 “금융여건 완화가 가계대출 증가 등 금융안정에 미치는 부정적인 영향을 감안해 거시건전성 규제를 일관성 있게 시행해야 한다”고 말했다.
임지선 기자 vision@kyunghyang.com
▶ 매일 라이브 경향티비, 재밌고 효과빠른 시사 소화제!
▶ 계엄, 시작과 끝은? 윤석열 ‘내란 사건’ 일지 완벽 정리
©경향신문(www.khan.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