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12.26 (목)

구조조정 때 놓친 석유화학 … 다른 산업은 괜찮나 [사설]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정부가 위기에 봉착한 석유화학 산업의 경쟁력을 높이기 위한 방안을 23일 발표했다. 기업 활력 제고를 위한 특별법(기활법) 기준을 완화해 사업 재편을 유도하고, 유동성 해갈을 위해 3조원의 정책금융과 세제혜택을 제공하겠다는 내용이 담겼다. 정부가 긴급 처방을 내놓았지만 깊은 불황의 늪에 빠진 석유화학 산업의 위기 타개에는 역부족으로 보인다.

석유화학이 실적 악화로 고전을 면치 못하게 된 것은 중국의 설비 증설로 인한 공급 과잉과 글로벌 경기 침체에 따른 수요 부진 때문이다. 여기에 원유만 팔던 중동 기업들이 석유화학 산업에 뛰어들면서 상황은 엎친 데 덮친 격이 됐다. 이는 2010년대 중국의 특수에 취해 증설 경쟁을 벌이면서 사업 재편과 구조조정 때를 놓친 탓이 크다. 글로벌 석유화학 기업들이 2010년 이후 구조조정을 진행한 것과 대조적이다. 일본은 국가 주도로 인수·합병(M&A)을 추진하는 한편 석유화학 설비를 최근 10년 새 15% 줄였다. 글로벌 기업들은 나프타분해시설(NCC)과 범용 소재는 축소하고, 2차전지용 폴리에틸렌(PE) 등 고부가가치 소재에 집중하고 있다. 우리 기업들도 늦었지만 범용 제품을 줄이고 기술 혁신을 통해 고부가가치 소재(스페셜티)에 승부를 거는 수밖에 없다.

비틀거리는 것은 석유화학만이 아니다. 한국 경제를 지탱해온 철강도 중국의 저가 덤핑 공세로 휘청거리고 있다. 전기·전자, 디스플레이도 경쟁력을 상실해가고 있다. 무역협회가 최근 발표한 '2025년 1분기 수출산업경기전망지수조사(EBSI)' 보고서를 보면 15대 수출 품목 가운데 반도체, 전기·전자제품 등 10개 품목이 기준선을 밑돌아 수출 여건이 나빠질 것이라고 한다. 제조업 전체가 위기다.

이는 중국 '제조업 굴기' 영향이 크지만, 수년째 산업 전반의 구조 개혁이 지연된 탓이 크다. 선진국 견제와 신흥국 추격이 거세지는 상황에서 산업 구조조정을 미루다가는 글로벌 시장에서 밀려날 수밖에 없다. 기업들은 자발적 사업 재편과 기술 혁신으로 경쟁력을 끌어올려야 하고, 정부도 이를 촉진할 정책적 지원에 적극 나서야 한다.

[ⓒ 매일경제 & mk.co.kr,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