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12.19 (목)

40대 싱글 20년새 男 7배·女 6배↑…"나이 들수록 결혼에 부정적"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2030 청년 40% "젠더갈등 심각"…성별보다는 시기별 격차 커

수도권-비수도권 격차 확대…저출생보다는 인구이동 때문

뉴스1

(통계청 제공)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세종=뉴스1) 전민 기자 = 40대 미혼자 비율이 2000년 대비 남성은 6.7배, 여성은 5.7배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미혼자의 결혼 의향은 남성이 여성보다 높았으며, 경제와 건강 상태가 좋을수록 결혼 의향이 높았다.

19일 통계청은 이같은 내용의 '한국의 사회동향 2024'를 발표했다.

20년새 40대 미혼자 남성 6.7배·여성 5.7배 늘어

2020년 미혼자 비율은 2000년 이후 지속해서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혼인 시기가 늦춰지는 동시에 평생 한 번도 결혼하지 않는 '생애 미혼'이 증가했기 때문이다.

2020년 40대 인구 중 미혼자 비율은 남성 23.6%, 여성 11.9%로 집계됐다. 2000년에 비해 각각 6.7배, 5.7배 증가했다.

남성은 미혼자가 유배우자보다 대졸자 비율과 고용률이 낮았다. 반면 여성의 경우 미혼자의 대졸자 비율과 고용률이 높았다.

미혼자 중에서 결혼을 긍정적이라고 보는 비율은 20대에서 40대로 올수록 점차 낮아졌다. 특히 40대의 긍정비율은 유배우자보다 2008~2023년 평균 약 27%p 낮았다.

19~34세 미혼자의 결혼 의향은 남성이 여성보다 더 높았다. 특히 개인의 경제적 상태와 주관적 건강 상태가 좋을수록 더 높았다.

결혼 의향이 있는 미혼자는 결혼 의향이 없는 미혼자에 비해 삶의 만족도와 행복감이 높았다. 특히 결혼, 자녀출산·양육, 연애 등 가족형성을 중요시했다.

2030 청년 40% "젠더갈등 심각"…남녀보다는 시기별 차이 커

뉴스1

(통계청 제공)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2023년 20~30대 청년세대의 40% 이상은 우리 사회에서 남자와 여자 간의 갈등, 즉 젠더갈등이 심각하다고 생각했다. 다만 심각성 인식 차이는 성별보다는 사회적 이슈에 따른 시기별 차이가 크게 나타났다.

성별에 따른 대우가 불공정하다는 인식이나, 분배정책 선호와 같은 정책 태도에서도 성별 격차보다는 시기별 차이가 있었다.

사회문제 일부나 삶의 중요 요소에서는 청년세대 내 성별 격차가 나타났다. 19~34세 청년 중에서, 연애, 결혼, 출산과 양육은 남성이 더 중요시하고, 사회 기여는 여성이 더 중요하게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희망하는 미래 실현을 위한 조건에서도 일부 차이가 나타났다. 여성은 남성보다 정부의 정책지원과 부모의 경제력을 중요시하는 비율이 더 높았다.

가족돌봄청년 비율 1.3%…41.2%는 직접 돌봄+경제적 부양

뉴스1

(통계청 제공)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2020년 인구총조사 기준 13~34세 인구의 1.3%에 해당하는 15만 3044명이 가구 내 가족 돌봄을 주로 담당하는 가족돌봄청년으로 추정됐다. 가족돌봄청년의 41.2%는 직접 돌봄과 함께 경제적 부양도 책임졌다.

연령별로는 25~34세가 55.1%로 가장 많고, 학령기인 13~18세도 16.0%를 차지했다.

가족돌봄청년의 미취업자 비율은 가족돌봄을 하지 않는 청년에 비해 19~24세(55.8%)에서 7.0%p 낮지만, 25~34세에서는 29.3%로 4.3%p 더 높았다.

가족돌봄청년 22.1%는 삶에 대해서 만족하지 못하며, 특히 일주일에 15시간 이상 가족을 돌보는 청년의 삶의 만족도는 더욱 낮았다.

가족돌봄으로 인해 미래에 대한 계획을 세우기 어렵다고 답한 청년은 가족돌봄청년은 36.6%였다. 주 15시간 이상 돌봄인 경우는 절반 이상(54.5%)이었다.

수도권-非수도권 격차, 저출생보다 인구이동 때문

뉴스1

(통계청 제공)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2000년 이후 지역 간 인구불균형은 출생보다 지역 간 인구이동이 더 주요한 요인인 것으로 분석됐다.

전체 인구 중 수도권 인구 비중은 2015년 50.7%로 절반을 넘어섰다.

2000년 이후 지역 간 인구불균형 문제에서 출생의 영향은 다소 제한적이었다. 최근 저출생 현상은 농촌이나 도시 지역에 한정되기보다는 전국적 문제이며, 2000년 이후 합계출산율 감소는 수도권에서 오히려 더 빠르고 강하게 나타났기 때문이다.

지역 간 인구이동, 특히 비수도권으로부터 수도권으로의 이동은 지역 간 인구불균형의 핵심적인 요인이었다. 2000, 2010, 2023년 기준, 수도권은 시·군 지역에서 순유입이 계속되며, 비수도권은 2023년 일부를 제외하고는 주로 순유출됐다.

2023년 국내 인구이동 총이동자 수 중 20~30대 이동자는 44.9%로 큰 비중을 차지했다.

연령별로 20~24세는 대학 진학 등 학업의 이유, 25~29세는 학업에서 직업으로 이행이 주된 이유였다. 30~35세는 혼인과 출산, 이와 연계된 주택 문제가 복합적으로 작용했고, 35~39세는 직장, 주거와 함께 출산, 육아, 자녀교육 등이 복합적 요인이었다.

min785@news1.kr

Copyright ⓒ 뉴스1.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