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액션스퀘어는 위메이드 장현국 부회장이 제3자배정 방식 유상증자를 통해 자사에 50억원 규모의 전략적 투자를 진행한다고 12일 밝혔다. 아울러 장 부회장이 액션스퀘어 공동 대표로 내정돼 2025년 1월1일부터 김연준 회장과 함께 회사를 이끌 것이라고 전했다.
2012년 8월 라이온하트 스튜디오 김재영 의장이 설립한 액션스퀘어는 2014년 액션 역할수행게임(RPG) ‘블레이드’의 흥행에 힘입어 코스닥에 상장하는 등 고속 성장을 이뤄냈다. 하지만 이후 차기작 발굴에 잇따라 실패하며 사세가 조금씩 기울었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이에 액션스퀘어 재무 상태도 나날이 악화됐다. 액션스퀘어는 2021년부터 매해 연간 적자를 기록 중이다. 올해도 상반기 매출 18억원, 영업손실 78억원을 기록하는 등 사정이 열악하다.
누적된 손실로 자본 잠식에 대한 우려도 커지고 있다. 액션스퀘어 상반기 연결 기준 자본 총계는 자본금 260억원보다 적은 204억원이다. 작년 말 293억원 대비 30.2% 감소했다. 상반기 기준 결손금은 약 863억원으로, 작년 약 783억원보다 증가했다.
업계는 승부사로 통하는 장 부회장이 액션스퀘어 위기감을 진화할 수 있을지 관심을 보이고 있다. 2014년 위메이드 대표직을 역임한 장 부회장은 가상화폐 위믹스(WEMIX)를 중심으로한 블록체인 사업을 이끌며 위메이드의 기업 가치를 끌어올린 인물이다.
코로나19 팬데믹 이후 다소 침체됐다고는 하지만, 블록체인 시장은 여전한 미래 먹거리로 점쳐진다. 장 부회장은 그간 글로벌 블록체인 업계에 몸 담은 경험과 노하우를 기반삼아 액션스퀘어의 다양한 게임에 토큰 경제를 이식하려 할 가능성이 높다. 신작 외 뚜렷한 모멘텀이 없었던 액션스퀘어로선 검증된 신사업으로 활로를 찾을 수 있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대표적인 사례가 공전의 히트작을 앞세워 어엿한 중견 게임사로 거듭난 시프트업과 라이온하트, 매드엔진이다. 장 부회장은 2018년 시프트업에 100억원을 투자해 획득한 지분 4.3%를 작년 전량 판매하며 7배에 달하는 차익을 거뒀다. 또 라이온하트에 50억원을 투자해 확보한 보유 지분 일부를 2022년 처분, 1187억원을 회수하며 4년 만에 20배 이상의 수익을 올렸다.
매드엔진에는 설립 초기 총 500억원을 투자해 지분 40.61%를 확보하고, 흥행작 ‘나이트크로우’를 퍼블리싱하며 위메이드 실적 개선을 견인하기도 했다. 위메이드는 최근 매드엔진 인수를 결정했는데, 위메이드가 평가한 매드엔진 기업 가치는 약 5079억원이었다.
장 부회장의 선구안이 액션 스퀘어에 이식되면, 유망 개발사 투자를 통한 재무적 성과 뿐만 아니라, 차기작 발굴에 대한 해묵은 고민까지 동시에 해결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이외 장 부회장은 미디어를 적극 활용해 기업 가치를 제고하는 데도 탁월한 역량을 보유하고 있다. 그간 조연에 머물러 있던 액션스퀘어에 스포트라이트를 비출 수 있을 것이라는 기대가 나온다. 업계 한 관계자는 “장 부회장은 투자자나 언론에 대응하는 역량이 뛰어나다. 액션스퀘어에서도 그런 강점을 이용해 회사를 향한 관심을 끌어올릴 것”이라고 내다봤다.
다만 장 부회장의 사법 리스크는 우려되는 대목이다. 장 부회장은 현재 위믹스 유동화 계획이 없다고 공표한 후 이를 지키지 않았다는 혐의로 불구속 기소돼 재판을 받고 있다. 장 부회장은 지난달 2차 공판에서도 위믹스를 유동화한 것이 아니라는 입장을 고수했다.
한편 액션스퀘어는 장 부회장이 블록체인 신사업과 개발사 투자라는 영역을 개척해, 회사를 성장시키고 주주가치를 밸류업 시킬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김연준 대표는 “트럼프2.0 시대를 맞아 블록체인과 크립토가 제도화 되는 거대한 변화의 흐름 속에서, 장 대표의 경험과 역량이 액션스퀘어를 완전히 다른 회사로 도약시킬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장 부회장의 합류에 시장도 액션스퀘어에 기대감을 나타내고 있다. 액션스퀘어 주가는 12일 전거래일 대비 30% 오른 1545원으로 장을 마감했다.
- Copyright ⓒ 디지털데일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