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12.05 (목)

이슈 책에서 세상의 지혜를

“다산, 배교 후에도 천주교 버리지 못해… 진심에 주목해야”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다산의 일기장’ 펴낸 정민 교수

“관찰사도 잡지 못한 지도자 검거… 천주교와 사전교감 있었기에 가능

행간 읽어야 진심에 다가갈 수 있어”

30대때 쓴 일기 4종 첫 한글 번역

동아일보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젊은 나이의 다산은 대단했습니다. ‘돌격대장’이었고 다혈질이었지요.”

정민 한양대 국어국문학과 교수(64·사진)가 이렇게 말했다. 그러면서 “우리가 알고 있는 성인 같은 모습의 다산과 젊은 시절의 그는 상당한 차이가 있다”고도 했다. 그는 2006년 ‘다산선생 지식경영법’을 처음 출간한 뒤 20년 가까이 다산 연구에 매달린 한국의 대표적 인문학자 중 한 명. 신간 ‘다산의 일기장’(김영사)을 펴낸 그가 3일 서울 중구의 한 카페에서 열린 기자간담회에 나섰다. 이번에는 ‘30대의 다산’을 재조명했다고 한다.

동아일보

다산이 유배생활했던 전남 강진 고택 조선 후기 문신 다산 정약용(1762∼1836) 선생이 천주교를 탄압한 ‘신유박해(辛酉迫害)’로 유배 생활을 했던 전남 강진군의 유적. 정민 한양대 국어국문학과 교수는 다산이 유배를 가기 전 천주교에 대한 복잡한 심경이 숨겨져 있는 30대 시절 일기 4종을 국내 최초로 번역했다. 오른쪽 사진은 안경을 쓴 다산의 초상화. 국가유산청·강진군 제공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다산의 일기장’은 다산이 33∼35세이던 1795∼1797년 작성한 일기 4종을 다룬다. ‘금정일록(金井日錄)’ ‘죽란일기(竹欄日記)’ ‘규영일기(奎瀛日記)’ ‘함주일록(含珠日錄)’을 국내 최초로 한글 번역한 것을 담았다. 다산이 청나라 출신 천주교 신부인 주문모 검거 실패 사건에 연루돼 ‘사학삼흉(三凶)’으로 몰려 충청도 금정찰방으로 좌천됐다 간신히 한양으로 상경했지만, 다시 외직으로 밀려난 ‘고초의 시기’다.

신간에는 온화한 실학자로만 알고 있던 다산의 혈기 왕성한 젊은 시절 이야기가 담겼다. 1795년 다산의 정치적 후견인이었던 채제공(1720∼1799)은 천주교와 계속해서 연관되는 다산 등에게 벌주기를 청하는 상소를 올리기 위해 초고를 써뒀다. 그런데 이 소식을 들은 다산이 채제공의 아들 채홍원을 찾아가 “자네는 사람을 물에 빠뜨릴 때 빠지는 사람이 반드시 손으로 끌어당겨 함께 들어간다는 말을 들어보지 못했던가?”라고 따진다. 아들로부터 다산의 ‘협박’을 전해 들은 채제공은 불쾌해하면서도 초고를 태워버린다.

공식적으로는 천주교 ‘배교’를 택했지만 끝까지 종교를 버리지 못한 다산의 이중적인 면모도 잘 드러난다. 대표적인 것이 천주교 지도자인 이존창 검거 사건이다. 다산은 금정찰방으로 좌천된 후 정조의 명령으로 포졸과 장교 한 명을 대동해 충청도 관찰사도 못 잡던 이존창을 잡는 데 성공한다. 당시 다산의 진심은 무엇이었을까. 정 교수는 이렇게 말한다. “수년 동안 잡으려 해도 잡지 못한 천주교 지도자를 아무 저항 없이 붙잡아 온 것은 이미 다산이 천주교 쪽과 사전 교감이 있었음을 의미한다. 실제로 다산은 이후 이존창에게 천주교 활동을 안 하겠다는 ‘다짐장’을 받고 풀어줬다.”

정 교수는 그러면서 “국학계는 다산이 천주교에 미쳤지만 자기 손으로 털고 나왔으니 더 연관시키면 불순하다고 하고, 천주교계에서는 다산이 ‘배교자’이니 관심 없어 한다”고 덧붙였다. 어느 한쪽에도 치우치기 부담스러웠던 다산이 ‘중간자적인 입장’을 취하며 어려운 상황을 넘겼다는 것이다.

책은 정 교수가 다산일기를 번역하면서 든 궁금증 100가지에 대한 자문자답 형식으로 구성됐다. 일기와 기존 다산의 시문집과 다른 역사서들의 기록을 대조해 길지 않은 다산의 일기를 자세히 해설한 점이 눈에 띈다. 정 교수는 “일기 자체는 무미건조한 팩트만 나열했지만, 행간을 면밀히 읽어야 다산의 진심에 다가갈 수 있다”고 했다.

정 교수는 다산 정약용과 연암 박지원 연구에 집중해 왔다. 최근에도 다산이 특정 집안에 보낸 편지 24통을 새로 입수했다고 한다. 정 교수는 간담회에서 “사실 제가 제일 좋아하는 작가는 연암 박지원”이란 농담을 던지면서도 “다산과 불교의 관련성 등 앞으로도 다산의 다양한 면모를 다뤄보고 싶다”는 뜻을 밝혔다. “만일 제가 다산을 만난다면 (그가) 묘한 표정을 지을 것 같아요. ‘내가 너 때문에 참 성가셨다’라는 생각을 하면서도 ‘그래도 네가 내 속을 좀 알아주니 고맙다’라는 두 가지 생각을 하지 않을까 싶습니다.”

사지원 기자 4g1@donga.com

ⓒ 동아일보 & donga.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