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시혁 하이브 의장이 지난해 3월 서울 중구 프레스센터 국제회의장에서 관훈클럽 주최로 열린 관훈포럼에 참석해 기조연설을 하고 있다. 서성일 선임기자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방시혁 하이브 의장이 하이브 상장 전 사모펀드(PEF)와 비밀리에 계약을 맺고 수천억원의 차익을 챙긴 사실이 알려지면서, 주식 공모 과정에서 기관·대주주와 일반투자자간의 정보 비대칭 문제가 재조명되고 있다. 대주주와 기관은 계약을 통해 권리를 보장받고 수익을 실현한 반면 개미투자자는 권리를 보장받지 못한 채 손실을 떠안았기 때문이다. 일반투자자에 대한 보호조치가 강화돼야 한다고 지적이 나온다.
3일 업계에 따르면 방 의장(당시 대표)은 2020년 10월 유가증권시장 상장 전 복수의 PEF와 주주 간 계약을 맺었다. 일정 기한 내 기업공개(IPO)가 실패하면 PEF의 지분을 되사주고, 성공하면 방 의장이 PEF의 매각 차익 약 30%를 받는 조건으로 알려졌다. 이후 하이브 상장 성공으로 PEF들은 지분을 매각했고, 방 의장도 수천억원의 수익을 챙긴 것으로 추산된다. 다만 주가는 대규모 매도세로 상장 후 보름 만에 거의 반토막이 났다. 주가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사안이지만, 방 의장은 상장 전 투자설명서 등에 이 같은 계약을 공시하지 않았다.
논란이 일자 하이브는 지난 29일 “상장 주관사에 해당 주주간 계약을 제공했고, 상장 주관사들 또한 상장 관련 법령에 따라 해당 계약을 검토했다”며 “법령을 위반한 사항은 없다”고 공시했다.
법조계의 의견은 분분하다. 자본시장법상 ‘허위 공시’에 해당할 수 있다는 의견도 있는 반면, 사적 계약이고 회사 경영에 타격을 주진 않은 만큼 배임 등 처벌은 어려울 것이란 의견도 많다. 한 법조계 관계자는 “도의적인 문제는 있어도 법령상 문제가 있다고 보기는 어려울 수 있다”고 말했다.
금융투자업계 관계자는 “사적 계약이 공모가 형성에 영향을 미쳤을 가능성은 높지 않아보인다”며 “방 대표도 개인적인 리스크를 감수했기 때문에 큰 문제는 없고, 거래소도 이를 잡아내기 어려웠을 것”이라고 말했다.
그럼에도 문제가 되는 것은 정보의 비대칭으로 대주주가 수익을 챙기는 사이, 일반투자자는 피해를 볼 수 있다는 점이다. 기관과 대주주는 사측과 지속적으로 소통하고 계약을 통해 위험을 줄일 수 있지만, 기업에 대한 정보를 접할 창구가 공시 외에는 딱히 없는 개미투자자들은 공시가 부실할 경우 리스크를 제대로 인지하지 못한 채 투자에 나서 피해를 보기 때문이다.
김준구 웹툰 엔터테인먼트 대표(가운데)와 함께 네이버 창업자인 이해진 글로벌투자책임자(김준구 오른편)가 상장 기념 타종행사에서 박수를 치고 있다. 네이버 제공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비단 하이브만의 일은 아니다. 주주가치 침해 논란이 컸던 두산과 고려아연도 합병·유상증자가 주주에게 미치는 영향을 제대로 공시하지 않아 금감원의 공시 정정 요구를 받은 바 있다. 올해 미국 나스닥에 상장한 웹툰 엔터테인먼트(네이버 웹툰)에 대해서도 현지에서 집단 주주소송이 이어지고 있다. 상장 당시 성장 둔화와 리스크를 고지하지 않아 주가가 폭락해 피해를 입었다는 취지다.
이 같은 사례가 계속될 경우 투자자들 불신이 커지면서 IPO를 포함한 공모 과정 자체가 침체될 수 있다는 지적도 나온다. 황용식 세종대 교수는 “정보의 비대칭성을 완전히 해결할 수는 없지만 시장의 불신을 키우고 IPO 시장을 위축시킬 수 있다”며 “기업이 가치를 명확하게 설정하고, 검증과 감독 기능도 강화돼야 한다”고 말했다.
김경민 기자 kimkim@kyunghyang.com
▶ 매일 라이브 경향티비, 재밌고 효과빠른 시사 소화제!
▶ ‘명태균 게이트’ 그들의 은밀한 거래, 은밀한 관계
©경향신문(www.khan.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