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남아 4개국 최고 271% 관세 폭탄
이미 美에 공장 세워...'관세 제외' 인니 등으로도 이전
美 태양광 패널 공급 부족 여전...수출 여지 남아
미국이 동남아시아 4개국에서 수입하는 중국산 태양 전지·패널에 대해 최고 271.2%의 반덤핑 관세를 부과하기로 예비 결정한 가운데, 미국의 관세 폭탄에 철저히 대비한 만큼 중국 업계는 타격을 크게 입지 않을 것이라는 입장이다. 이미 미국 현지에 공장을 세운 데다 미국 내 태양광 패널 공급 부족 문제로 수출 여지가 남아있기 때문이다.
중국 신징바오(新京報)는 "중국 태양광 업체들의 미국시장 진출에 있어 동남아 국가는 교두보 역할을 해왔다"면서도 "하지만 기업들은 이미 (미국의) 관세 정책을 예상하고 있었고 현지 공장 건설, 생산기지 이전 등을 통해 대비해왔다"고 3일 보도했다.
실제 미국의 규제 확대로 미국 시장 진출이 어려워지자 론지, 진코솔라 등 중국 주요 태양광 업체들은 이미 지난해부터 미국 현지에 공장을 세우기 시작했고 최근에는 가동에 속도를 내고 있다.
세계 최대 태양광 업체인 론지는 올해 1분기 미국 오하이오주에 건설한 5GW(기가와트) 규모 모듈 공장 가동에 들어갔으며 트리나솔라는 지난달 텍사스주 공장을 본격 투입했다. 트리나솔라의 경우 이후 미국 공장 지분을 노르웨이 배터리 기업 프레이어에 매각하긴 했으나 생산·판매 등에 있어 계속해서 협력한다는 계획이다. 진코솔라도 미국 내에 2GW 규모의 모듈 생산 공장을 완공했고, JA솔라 역시 지난해 미국 공장 건설을 발표한 바 있다.
중국 기업들은 미국 외에 인도네시아, 라오스 등 반덤핑 관세 대상에 포함되지 않은 동남아 국가로도 생산기지를 이전하고 있다. 중국 업계 관계자는 신경보에 "현재 동남아 4개국에 있는 중국 기업들의 생산능력은 미국 아니면 인도네시아 및 라오스로 옮겨가고 있다"고 전했다.
트리나솔라만 해도 지난해에 미국 공장과 함께 인도네시아 공장도 건설했다. 특히 인도네시아 공장은 차세대 고효율 기술인 탑콘 셀 기반 모듈을 생산할 예정인 것으로 알려졌다. 트리나솔라는 지난 11월 실적발표에서 해외 공장 건설과 관련해 “현지 상장사, 자본과 전방위적이고 긴밀한 협력을 통해 지정학적 리스크를 줄일 것"이라고 언급했다.
미국 내 태양광 패널 생산능력이 여전히 부족한 것도 중국 업체들이 관세 우려를 덜 수 있는 이유다. 미국 정부는 미국 내 태양광 모듈이 부족하다는 자국 기업들의 요구를 받아들여 지난 2022년 6월 동남아산 태양광 모듈에 대한 관세를 2년간 유예했다. 다만 현재 미국이 이 동남아 4개국에서 수입하는 태양광 패널은 여전히 80%에 달한다. 더구나 태양광 모듈 생산에 필요한 태양전지의 경우 관세가 붙어도 가격 경쟁력을 유지할 수 있다는 게 전문가들의 설명이다.
상하이유색망의 왕원치 태양광 발전 산업 선임 애널리스트는 “태양전지 분야에서 미국의 공급 부족 현상과 의존도를 고려할 때 동남아는 향후 모듈 수출에서 전지 수출로 전환될 것”이라면서 “미국 내 전지 부족 현상이 2~3년 동안 지속될 것”이라고 내다봤다.
앞서 미 상무부는 지난달 29일(현지시간) 동남아 4개국(캄보디아, 태국, 베트남, 말레이시아)에서 수입되는 태양 전지에 대해 최대 271.2%의 반덤핑 관세를 부과하기로 예비 결정했다고 밝혔다. 기업별로는 징코솔라의 경우 말레이시아산과 베트남산 제품에 각각 21.31%, 56.51%의 반덤핑 관세가 산정됐으며 트리나솔라의 반더핑 관세율은 태국산 제품 77.85%, 베트남산 제품 54.46%다. 상무부의 예비결정에 대한 최종 결정은 내년 4월로 예정돼 있다.
아주경제=이지원 기자 jeewonlee@ajunews.com
- Copyright ⓒ [아주경제 ajunews.com] 무단전재 배포금지 -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